CJ ENM, TVN 역대급 구조조정설 부인하나...아니 땐 굴뚝에...

김형규 / 기사승인 : 2024-01-31 17:54:58
  • -
  • +
  • 인쇄
직원 수 대폭 감축설 시장에서 파다
스타 국장까지...사측 "사실무근, 안식년 휴무"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CJ ENM의 TVN부문에서 역대급 구조조정과 관련한 설왕설래가 나도는 가운데 사측이 이를 전면 부인하고 있어 해당 소문의 원인과 진위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1일 업계 소식통들을 통해 돌고 있는 얘기는 TVN이 인력 구조조정 대상 직원들에게 출근하지 말라고 통보했고 이로 인해 TVN의 직원 수는 300명에서 180명으로 줄고 코미디빅리그를 이끌었던 스타 국장인 김석현 국장도 구조조정 대상에 올라왔다는 설이다. 

 

▲ 서울 상암동 CJ ENM 센터 [사진=CJ ENM]

 

이에 대해 CJ ENM 측은 TVN의 위기설과 구조조정 소식에 대해 강하게 부정하고 있다.

CJ ENM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사실무근이다. 현재 특정 부문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은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해고설까지 도는 김 국장 역시 여전히 예능교양사업본부 소속으로 재직 중이며 지난해부터 안식년 휴가 중일 뿐이라는 게 사측 설명이다.

또한 회사 구조상 여러 부서가 TVN의 콘텐츠를 나눠 담당하고 있어 해당 구조조정 소문 속 인원 수치도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CJ ENM 측은 TVN 방송 제작에 상당수가 참여하게 되는 CJ ENM의 엔터 사업 부문 인원만으로도 2000여 명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자체 OTT플랫폼 티빙을 운영 중이므로 OTT 시장 성장에 따른 시청자 유출이라는 원인이 성립될 수 없다고 이 회사의 주장이다.

이에 대한 진위 여부에 대한 일정부분은 CJ ENM에서 공시하는 사업보고서와 올 1분기보고를 통해 일정 부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설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업계에서는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시장의 성장과 MZ세대들의 시청층 이탈 아니겠냐는 분석도 나온다.


OTT의 성장으로 TV 시청률이 하락하면서 TVN은 고전하고 있다. 또한 MZ세대를 중심으로 OTT를 선호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12월 28일 발표한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전 세대의 OTT 이용률은 77%로 지난해 72%보다 5%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0대가 97.6%, 20대 97.8%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간 TVN은 MZ세대 공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 '코미디빅리그'를 통해 젊은 층이 선호하는 개그맨들을 발굴하고,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와 '슬기로운 의사 생활' 등 청춘 드라마가 인기를 끌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성과에도 MZ세대의 이탈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게 업계 일각의 평가다. 실제 2011년부터 방영하던 코미디빅리그는 지난해 9월 12년 만에 휴방에 들어간 상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