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게이트, 차세대 콘솔 게임 '크로스파이어X' 출시...글로벌 시장 공략 나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2-11 02:06:11
  • -
  • +
  • 인쇄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는 차세대 콘솔 FPS(1인칭 슈팅) 게임 '크로스파이어X'를 전 세계에 동시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크로스파이어X는 스마일게이트가 자사의 대표 게임인 온라인 FPS '크로스파이어'의 IP를 바탕으로 처음 내놓은 차세대 콘솔 타이틀이다. 

 

▲ 크로스파이어X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제공]

 

 

'언리얼4' 엔진을 사용한 그래픽과 축적된 FPS 게임 개발 노하우를 통해 현대적인 전장의 박진감을 잘 구현해 냈다는 평가다.


엑스박스 시리즈 X|S와 엑스박스 원을 통해 전 세계 모든 이용자들이 함께 플레이할 수 있다. 영어, 한국어, 스페인어, 독일어, 일본어 등 총 9개의 언어로 텍스트를 지원하며, 인게임 보이스도 7개의 언어를 지원한다.

특히 엑스박스 시리즈 X에서는 4K 해상도에서 60 FPS 이상의 부드러운 화면으로 즐길 수 있다. 게임 플레이 중 로딩 시간을 크게 줄인 심리스(seamless) 플레이 환경도 구축했다.

크로스파이어X는 무료로 제공되는 멀티 플레이 콘텐츠를 기본으로, 크로스파이어의 세계관이 스토리와 캐릭터를 통해 구체화되는 싱글 캠페인 콘텐츠도 공개한다.

이용자들은 다국적 군사 기업 '글로벌 리스크'와 용병 집단 '블랙 리스트'가 첨예하게 맞서는 거대 스토리를 오퍼레이션 '카탈리스트'와 오퍼레이션 '스펙터'를 통해 플레이할 수 있다.

또 엑스박스 게임 패스 멤버라면 싱글 캠페인 콘텐츠 중 '오퍼레이션 카탈리스트'를 무료로 즐길 수 있다. 

 

▲ 크로스파이어X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제공]


특히, 싱글 캠페인 콘텐츠는 ‘맥스 페인 시리즈’, ‘엘런 웨이크 시리즈’로 스토리텔링 능력을 검증받은 핀란드의 개발사 ‘레메디 엔터테인먼트’와 협업을 통해 제작됐다.

멀티 플레이에서는 원작인 크로스파이어 고유의 재미를 살린 '클래식 모드'와 최근 FPS 게임의 트렌드를 반영해 좀 더 속도감 있는 플레이가 가능한 '모던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한다. ‘택티컬 그로스 시스템’과 같은 크로스파이어X만의 캐릭터 성장 시스템도 도입했다.

장인아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대표는 "크로스파이어 IP가 가진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증명하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콘솔 시장에서 세계적인 작품들과 경쟁하며 'K-게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