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스팀서 흥행 '초대박'...최고 동접 132만 '역대 2위'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2-17 02:34:35
  • -
  • +
  • 인쇄

스마일게이트 RPG의 MMORPG '로스트아크'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아마존 게임즈와 함께 글로벌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을 통해 160여 개국에 출시한 뒤 동시 접속자 1위 자리를 5일째 유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글로벌 MMORPG 중 최고 기록이다. 

 

▲ 로스트아크 글로벌 대표 이미지 [스마일게이트 RPG 제공]


특히, 지난 12일에는 최고 동시 접속자 수가 132만 명을 돌파해 크래프톤의 글로벌 최고 게임 IP인 '배틀그라운드'에 이어 역대 2위에 올랐다.

스팀 출시 이후 3일간 북미, 유럽 등 서구권 시장에서의 신규 가입자 수만 470만 명에 달했다.

출시 3일 전부터 진행된 ‘얼리억세스’ 기간에 53만 명의 동시 접속자가 몰리자 아마존 게임즈는 출시 직전 43개의 서버를 68개까지 증설했으나 전 지역에서 대기열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또 지난 11일 출시된 3개 스타터 팩 중 최고 등급 패키지가 스팀 '탑 셀러' 1위에 올랐으며, 다른 패키지도 모두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방송 플랫폼 트위치에서는 로스트아크를 주제로 한 방송의 최고 동시 시청자 수가 127만 명에 달해 전체 카테고리의 주제별 방송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출시 첫 주(현지시간 9~13일) 총 11만 2000개의 방송이 개설돼 누적 시청 시간이 5990만 시간을 넘어섰다.

회사 측은 "국산 MMORPG가 뚫기 어려운 벽으로 여겨졌던 서구권 시장에서 이 같은 흥행 성과를 올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와 성장 속도를 고려해 '아르고스 어비스 레이드와 '발탄' 군단장 레이드 등 추가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지원길 스마일게이트 RPG 대표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의 수많은 모험가 또한 로스트아크를 플레이하며 좋은 추억을 쌓을 수 있도록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로스트아크가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대표적인 글로벌 IP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마이크 프레지니 아마존 게임즈 부사장은 "최초의 외부 퍼블리싱 타이틀인 로스트아크가 거두고 있는 놀라운 초반 흥행에 아마존 게임즈 임직원 모두 큰 힘을 얻고 있다"며 "앞으로도 전세계 더욱 많은 사람이 로스트아크를 즐길 수 있도록 프라임 게이밍, 트위치 등 아마존이 가진 다양한 채널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전자, 엔비디아와 미래기술 혁신 주도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글로벌 AI 인프라기업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피지컬(Physical)AI, 디지털트윈 등 차세대 기술 혁신을 가속화한다. LG전자는 엔비디아의 다양한 AI 플랫폼 생태계에 합류해 로보틱스 기술 역량을 고도화한다. LG전자는 엔비디아가 선보인 범용 휴머노이드 추론모델 ‘아이작 GR00T’를 기반

2

SK, 엔비디아 기반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그룹은 국내 제조업 생태계의 인공지능(AI) 혁신을 위해 엔비디아(NVIDIA)의 GPU(그래픽처리장치)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고 31일 밝혔다. SK그룹은 이를 제조업 관련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에도 개방해 대한민국 제조업 생태계가 AI 기반으로 생산성과

3

삼성전자, 엔비디아와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 기반 인공지능(AI) 기술 시너지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아으로 수년간 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도입하고,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 라이브러리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 제조 환경 구현을 가속할 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