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바이탈뷰티·큐브미 녹색기술제품 인증 획득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5-04 08:45:28
  • -
  • +
  • 인쇄
초고압 인삼 가공 '천삼화' 기술 활용 제품

아모레퍼시픽(대표이사 서경배)이 이너뷰티 솔루션 브랜드 바이탈뷰티와 웰니스 라이프 브랜드 큐브미가 초고압 인삼 가공 기술을 활용한 제품으로 녹색기술제품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천삼화 기술, 즉 초고압 인삼 가공 기술로 녹색기술인증(GT-20-00928)을 받았다.

이는 기존 방식보다 홍삼 가공 공정을 단축해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약 1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열을 가하거나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고도 인삼에 잔류하는 토양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 사진 = 아모레퍼시픽 제공

 

아모레퍼시픽은 천삼화 기술을 바이탈뷰티와 큐브미 출시 신제품에 적용했다.

5월 새롭게 출시한 바이탈뷰티 신체품 '축하해홍'은 건강한 축하를 전하는 생일 케이크 형태의 홍삼스틱이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인 HACCP 인증을 받아 맛있고 건강하게 섭취가 가능하다.

큐브미 ‘레드진생 플러스’는 면역력 증진, 피로 회복 등에 도움을 주며 지친 신체에 활력을 선사하는 액상 스틱 제품이다. 큐브미 ‘홍삼스틱 큐브’는 어린이 면역 기능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 식품으로 오렌지 맛 스틱 젤리 제형으로 쓰지 않고 맛있게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이다.

특히 큐브미 ‘레드진생 플러스’와 ‘홍삼스틱 큐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 기억력 개선, 항산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섯 가지 기능성도 인정받았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헬스케어연구1팀 박찬웅 팀장은 "이번 녹색기술제품 인증 획득은 건강한 아름다움을 위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홍삼에 대한 끊임없는 효능 연구와 개발로 이뤄낸 결과"라며 "아모레퍼시픽은 앞으로도 친환경적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발굴하고 제품 적용 범위를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녹색인증’은 2010년 공포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유망한 기술 또는 사업을 인증하는 제도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접수해 녹색인증심의위원회 평가를 거쳐 선정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작년에도 녹차 부산물에서 기능성 생리 활성 물질을 제조하는 기술 및 초고압 인삼 가공 기술 적용 제품으로 각각 녹색기술제품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관련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이제는 포스트시즌...유통가, KBO와 협업 활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2025년 프로야구 포스트 시즌을 맞이해 유통가가 KBO와의 협업에 여념이 없다. 6일 KBO에 따르면 올 시즌 누적 관중은 1201만9267명(평균 1만7097명)을 기록했다. 프로야구 출범 44년 만에 최초로 시즌 관중 1200만명을 넘어섰다. 6일 업게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bhc는 오는 12일까지 ‘2025 신한 SOL

2

타임테라스, 10월 한 달간 ‘가을 문화 축제’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타임테라스는 10월 한달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한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오는 6일부터 매주 주말 오후 2시와 6시 A블록 아트리움에서 ‘테라스 라이브’를 진행한다. 타임테라스의 대표 문화 콘텐츠인 테라스 라이브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으로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이번 공연은 추석 황금연휴에 맞춰 인

3

식품업계, 한가위에 신메뉴와 이벤트 통해 소비자 지갑 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올해 추석 연휴가 최장 10일에 달하면서 외식·음료 업계가 다양한 신메뉴와 이벤트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업계는 한가위의 전통적인 정취와 현대적인 감각을 결합해, 가족 단위 고객부터 젊은 세대까지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도미노피자는 가을의 제철 맛을 담은 ‘추석 제철 베스트 TOP 4’를 선보였다. 랍스터 슈림프 투움바 피자와 블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