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정진성 기자]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과 관련 미국과 기술·개발(R&D)협업을 강화해 글로벌 기술리더십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
▲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 : 박재근 한양대 교수(왼쪽 첫번째)가 패널들과 함께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와 한미협회(회장 최중경), 주한미국상공회의소(회장 제임스 킴)는 12일 오전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중경 한미협회 회장,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제임스 킴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마크 맨인 미 의회조사국 선임연구위원, 캐런서터 미 의회조사국 선임연구위원, 제이 빅스 주한미국대사관 상무참사관이 참석했다.
박재근 한양대 교수와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각각 반도체와 이차전지를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섰다. 세션별 토론자로는 조은교 산업연구원 박사, 김춘환 SK하이닉스 부사장, 박영완 퀄컴코리아 상무(이상 반도체), 황경인 산업연구원 박사, 박정현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이형석 현대경제연구원 박사(이상 이차전지)가 참석했다.
최중경 한미협회 회장은 “첨단산업 기술패권경쟁이 격화될수록 기업 두뇌 역할을 하는 마더팩토리 구축 전략이 중요하다”며 “한국의 핵심기술 내재화와 R&D 활성화를 위해 첨단산업 원천기술 선도국가인 미국과 One-team을 이뤄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마더팩토리 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박재근 한양대 교수는 “제품 설계와 연구개발 등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마더팩토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을 보유한 소재·장비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업이 중요하다”며 “반도체 초미세 공정 기술력의 난이도가 나날이 증가할수록 제조에 필요한 소재와 장비 수준도 높아지기에 글로벌시장을 선도하는 해외 소재·장비업체 R&D센터가 국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 이차전지산업 발표에 나선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모바일 IT, E-Mobility 등 산업 전반에서 ‘이차전지 대량소비 시대’가 열리며 이차전지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는 반면, 중국·일본 등과의 경쟁 격화로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는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며 “세계 이차전지 시장에서 한국이 선도국 위치를 점유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으로 높은 기술역량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