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GC녹십자가 미국 관계사 큐레보(Curevo Vaccine)와 손잡고 대상포진 백신 ‘아메조스바테인(amezosvatein, 프로젝트명: CRV-101)’의 위탁생산(CMO) 권리를 확보했다. 글로벌 백신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행보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큐레보와 아메조스바테인의 상업화 물량 일부를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GC녹십자는 미국 및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제품 생산에 참여하게 된다.
![]() |
▲ GC녹십자, 美 관계사 큐레보 대상포진 백신 CMO 권리 확보 |
현재 글로벌 대상포진 백신 시장은 GSK의 ‘싱그릭스(Shingrix)’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2017년 1조 원 수준이던 시장은 싱그릭스 출시 이후 매년 약 20%씩 성장하며 2024년 6조 원 규모로 확대됐다. 싱그릭스의 지난해 매출은 약 5조 원(34억 파운드)에 달하며, 시장 점유율은 90% 이상이다.
이에 큐레보와 GC녹십자는 아메조스바테인을 차세대 대체 백신으로 육성, 글로벌 시장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메조스바테인은 싱그릭스와 같은 면역증강제(Adjuvant)가 포함된 재조합 단백질 백신이지만, 합성 면역증강제를 사용해 주사 부위 통증과 전신 반응을 최소화한 것이 강점이다. 회사 측은 “일반 백신 수준의 내약성을 확보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해당 백신은 초기 임상 2상에서 경쟁 약물 대비 비열등성을 입증했으며, 내약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 현재 큐레보는 만 50세 이상 성인 640명을 대상으로 확장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2026년까지 종료한 뒤 바로 임상 3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이번 계약은 당사의 글로벌 백신 사업 확장과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에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수준의 백신 제조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