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FC서울과 손잡고 밀알복지재단 저소득가정 장애 운동선수 후원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6 09:58:25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티몬이 연말을 맞아 밀알복지재단, FC서울과 함께 저소득가정 장애 운동선수를 후원하는 ‘소셜기부’를 개최한다. 또, 지난 5일 소셜기부의 일환으로 열린 오프라인 행사 ‘FC서울 팬밋업(FAN MEET-UP)’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31일까지 열리는 이번 소셜기부는 어려운 형편에도 빛나는 노력으로 꿈을 키워가고 있는 장애청년 운동선수들을 응원하고 훈련장비와 훈련비용 등 실질적인 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누구나 2천원부터 1만원까지 자유롭게 기부할 수 있으며, 모금액은 수수료와 사업비 등을 일절 제하지 않고 100% 전액 저소득가정 장애 운동선수를 위해 사용한다. 후원금과 사용 내역은 다음 밀알복지재단과의 소셜기부에서 투명하게 공개한다. 

 

▲티몬, FC서울과 손잡고 밀알복지재단 저소득가정 장애 운동선수 후원 

소셜기부의 일환으로 5일 진행한 ‘FC서울 팬밋업’도 성공적이었다. 티몬 본사 1층 카페 TWUC(툭)에서 열린 행사에는 ‘강성진’, ‘백상훈’, ‘백종범’, ‘조영욱’, ‘한승규’ 선수 5명과 100여명의 팬들이 참여했다. 행사 참여에 필요한 사전 입장권은 30일 판매 시작 후 채 1분도 안 돼 매진되며 팬들의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선수들은 행사 콘셉트인 ‘원데이 카페’에 맞춰 ‘카페 TWUC’(툭)의 일일 카페스탭으로 나섰다. 직접 팬들의 주문을 받고 서빙하며 티타임과 포토타임을 가지고 자유롭게 소통했다. 축구화, 훈련복 등 선수들이 직접 준비한 애장품 경매 이벤트도 열렸는데, 모아진 경매금 255만원은 밀알복지재단에 전액 전달해 장애청년 운동선수 지원에 사용 예정이다. 또, 선수들은 현장에서 소셜기부에 동참하고 응원 메시지를 전했다.

박성호 티몬 제휴사업본부장은 “연말을 맞아 밀알복지재단, FC서울과 함께 준비한 행사로 티몬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소셜기부’와 연계해 나눔의 의미를 더욱 확장하고자 노력했다”며, “재능 있는 장애청년들이 꿈을 잃지 않고 계속해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따뜻한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팬밋업이 개최된 카페 TWUC(툭)은 작년 11월 티몬이 이커머스 최초로 조성한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발달장애 청년들이 바리스타의 꿈을 만들어 가는 곳이다. 티몬과 FC서울은 카페 설립을 기념해 지난해 12월 주장단 팬 사인회를 실시한데 이어, 올해도 특별한 행사를 이어가며 의미를 더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96세도 문제없다…바른세상병원, 초고령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병원 바른세상병원은 96세 초고령 환자에게 무릎 인공관절치환술(TKR)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술은 관절센터장 정구황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집도했다.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의 인공관절 수술은 늘고 있으나,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는 수술 위험이 높다. 바

2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3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1330억원 규모 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를 위해 1330억원 규모의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SK스토아 등 ICT 패밀리와 함께 매년 설·추석 명절 전 대금 조기 지급을 시행해왔다. 올 추석에도 전국 1430여개 협력사와 250여개 유통망에 약 1330억원을 연휴 시작 전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