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프레시웨이, 글로벌 상품 공급 확대…입맛 다변화에 주목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11-29 11:01:16
  • -
  • +
  • 인쇄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CJ프레시웨이가 수입 식자재의 수요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마라탕의 인기를 비롯해 베트남 현지식, 프랑스 가정식, 할랄식 등 다양한 국가와 지역별 음식이 보편화되며 수입 식자재를 찾는 고객이 부쩍 많아졌기 때문이라는 게 이 회사의 설명이다.
 

▲ CJ프레시웨이의 수입 식자재 상품 [사진=CJ프레시웨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2023 식품외식통계'에 따르면 외국식 음식점 수는 지난 2020년부터 3년간 연평균 10%씩 늘었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수입 식자재 상품군의 유통 규모가 지난 2021년과 비교해 약 70%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지난해 연간 매출의 16%를 훌쩍 뛰어넘었다.

CJ프레시웨이는 수입 식자재 수요가 늘어난 배경으로 소비자의 입맛이 다변화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해외여행의 일상화와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의 영향으로 외국식에 대한 인식이 확대된 데 더해 고급 레스토랑, 파인다이닝 등을 중심으로 미식 트렌드가 성행했다. 이어 외식 사업장과 단체급식장 등 B2B 경로에서도 수입 식자재를 찾는 고객사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CJ프레시웨이가 유통한 상품 중 전년도 대비 눈에 띄게 수요가 상승한 품목은 버터, 치즈 등 유제품(59%)과 마라 소스(52%), 토마토 페이스트 등 토마토 가공품(28%) 등이다. 튀김용 냉동감자(1280%) 매출은 약 14배 성장했다.

CJ프레시웨이는 데빅(유제품), 하이디라오(중식 소스), 헌트(토마토 가공품), 유로골드(냉동감자) 등 다수 해외 브랜드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경쟁력 있는 상품을 확대해 고객의 선택 폭을 넓히고 최종소비자에게 다양한 맛을 서비스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에서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최근 해외 현지의 맛과 분위기를 내세운 사업장들이 맛집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다국적 식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수입품을 찾는 고객이 크게 늘었다"며 "고객이 원하는 고품질 상품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는 동시에 국내 식자재 유통시장을 바라보는 해외사들의 제안을 검토하는 등 새로운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CJ프레시웨이는 ▲프랜차이즈 외식 사업장 ▲식자재 마트 ▲오피스 및 산업체 구내식당 ▲학교 급식 ▲영유아 교육시설 ▲시니어 케어시설 등 B2B 식자재 유통 경로를 대상으로 다양한 글로벌 상품을 내놓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페이코인, GS25 결제 재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가상자산 기반 간편결제 플랫폼 ‘페이코인(PCI)’은 국내 대표 편의점 브랜드 GS25에서 결제 서비스를 전격 재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제휴 복귀를 기념해 오는 10월 1일부터 파격적인 할인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된다.GS25 결제 재개는 단순한 기능 복원이 아닌, 가상자산 결제가 다시 일상 속 결제 수단으로 자리잡는 계기가

2

화요그룹 광주요,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개최 기념 토마스 헤더윅 협업 ‘서울비엔날레잔’ 공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프리미엄 한국 도자 브랜드 광주요가 서울시 주최, 주관의 2025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이하 ‘서울비엔날레’) 총괄 디렉터이자 세계적인 디자이너 토마스 헤더윅과 함께 서울비엔날레를 기념하는 한정판 ‘서울비엔날레잔’을 선보였다. 이번 협업은 한국 전통 음용 문화의 상징인 소주잔에 세계적 디자이너의 시선을 더해 서울이라는 도시가

3

한화 방산 3사, 국군의 날 맞아 현충원 공동 참배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화 방산 3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는 국군의 날(10월 1일)을 맞아 지난 29일 현충원 참배를 했다고 30일 밝혔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대표이사, 어성철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 부문장 등 3사 임직원들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았다. 손 대표와 어 부문장은 함께 방명록에 “건군 7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