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해외서 선풍...사상 최대 실적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5 13:33:14
  • -
  • +
  • 인쇄
라면, 딸기 효자 상품 등극... 인삼류도 인기
중국 이어 미국 시장 수출액 증가세 가팔라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K-컬처 열품에 힘입어 K-푸드 수출도 날아오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국내 농식품 수출액은 10조 7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 푸드를 수출한 이래 사상 최대 규모다.

K-푸드 수출의 효자 상품은 라면으로 집계됐다. 라면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25.9% 증가한 8억7610만달러를 수출했다. 농심, 삼양, 오뚜기 라면 등이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끈 것이 한 몫 했다는 평가다.


 

▲K-푸드 수추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사진=연합]

딸기와 쌀가공식품 수출액도 증가폭이 가팔랐다. 딸기 수출액은 5610만달러로 22.2% 늘었고 쌀가공식품 수출액은 1억9750만달러로 20.7% 증가했다.

음료 수출액도 5억3040만달러로 11.1% 증가했고 김치 수출액은 1억4240만달러로 9.9% 늘었다.

K-푸드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중국이다. 연간 12억8810만달러로 11.1% 증가했으며 미국은 12억250만달러로 8.5% 증가했다.

앞서 농식품부는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K푸드 플러스(+) 확대 추진 본부', '수출 정보데스크' 등을 마련해 국내 유명 기업들과 수출 촉진을 위해 힘써왔다.

현장 방문과 간담회 등을 통해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약 400건 발굴했고 이중 한국산 인증마크 활용, 마케팅 지원 요청 등 344건은 즉시 해결했다.

농식품부는 관세청과 협의와 법률 검토를 거쳐 면세점 판매액도 수출액에 포함해 관리하기로 했다.

직접 수출 이외에도 면세점 매출도 꾸준히 증가했다. 면세점에서 판매된 농식품은 1억20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약 두 배로 늘었다.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제한이 해제되면서 면세점 매출도 덩달아 뛴 것으로 분석된다.

면세점에서는 인삼류가 인기를 끌었다. 면세점에서 연간 인삼류 판매액은 6400만달러로 작년 동기와 비교해 74.6% 증가했다.

앞서 식약처도 한국안전관리인증원과 함께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에 식품 수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입식품 안전관리 체계 등을 설명하는 장을 마련해 국내 식품업계의 수출 지원에 나선 바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2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1330억원 규모 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를 위해 1330억원 규모의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SK스토아 등 ICT 패밀리와 함께 매년 설·추석 명절 전 대금 조기 지급을 시행해왔다. 올 추석에도 전국 1430여개 협력사와 250여개 유통망에 약 1330억원을 연휴 시작 전에

3

한화손해보험, 새 브랜드 모델에 배우 고윤정 발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화손해보험이 새 브랜드 전속모델로 배우 고윤정을 선정하고 다양한 브랜드 캠페인 활동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새 전속 모델로 발탁된 배우 고윤정은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무빙’, ‘환혼: 빛과 그림자’ ‘헌트’, 그리고 공개를 앞둔 ‘이 사랑 통역 되나요?​’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