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문고리 사기 급증... 프로필 믿었다가 495만원 사기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5 11:45:06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비대면 중고거래 방식인 '문고리 거래'를 악용한 사기 범행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간편 거래 문화의 허점을 파고든 범죄로, 피해 사례가 잇따르면서 주의가 요구된다.


15일 인천 미추홀경찰서에 따르면, 인천에 거주하는 20대 A씨는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을 통해 아이폰16 프로맥스를 구매하려다 495만원의 사기 피해를 입었다며 지난 5일 진정서를 제출했다.
 

▲ 당근마켓서 사기사건이 급증하고 있다. [사진=연합]

A씨는 당근마켓에서 B씨라는 판매자와 연락을 주고받으며 거래를 진행했다. B씨는 “입금을 하면 아파트 문고리에 물건을 걸어두겠다”며 특정 계좌를 안내했고, A씨는 이를 믿고 165만원을 송금했다.

B씨는 거래 직전 제품이 담긴 쇼핑백을 문고리에 걸어둔 듯한 사진까지 보내며 신뢰를 얻었다. 프로필에는 '재거래 희망률 100%'와 지역 인증 내역도 기재돼 있었다.

그러나 송금 직후 B씨는 “해당 계좌는 사업자 명의이며, 개인 거래 이력이 필요하다”며 추가 입금을 요구했다. A씨는 결국 3차례에 걸쳐 총 495만원을 송금했지만, 이후 B씨는 연락을 끊고 잠적했다.

A씨는 “처음에는 신분증도 보내왔고, 지역 내 활발한 활동 이력이 있어 의심하지 않았다”며 “나중에 확인해보니 계정을 대여해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A씨는 B씨의 추가 피해자를 찾기 위해 온라인 대화방을 개설했고, 지난 12일 기준으로 피해자는 전국 각지에서 64명, 피해금은 약 1,700만원에 달했다. 거래 품목도 스마트폰 외에 상품권, 그래픽카드, 게임기 등 다양했다.

경찰은 “사기범이 사용한 계좌 명의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있다”며 “사업자등록증이나 신분증은 위조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고거래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문고리 거래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주고받을 수 있어 선호도가 높지만, 현장을 확인하지 못한다는 특성 때문에 사기 피해로 이어지기 쉽다. 특히 최근에는 계정을 돈을 주고 빌려 범행에 활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기존의 신뢰 지표도 더는 안전장치가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