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랩, 협업툴 잔디 AI 기능 '스프링클러' 정식 출시

이동훈 / 기사승인 : 2025-03-06 12:36:52
  • -
  • +
  • 인쇄
25개 기업이 참여한 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거쳐 정식 버전 공개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업무용 협업툴 잔디(JANDI)를 서비스하는 토스랩이 AI(인공지능) 기능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정식 버전을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오늘 공개된 정식 버전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25개 기업이 참여한 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거쳐 성능을 개선한 버전이다.

 

스프링클러는 잔디 안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AI 기능이다.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을 이용해 정보 검색과 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잔디의 대화방내 문맥을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AI가 생성한 답변을 메시지로 활용하거나 편집해서 내용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문서 및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 AI와 사용자가 자연어로 상호 작용을 해 더욱 가치 있는 정보를 재생산할 수 있다.  

클로즈 베타 테스트에 참여한 L 사는 “스프링클러로 영업 데이터 검색 및 보고서 작성 시간이 12분에서 10초로 98% 단축된다”고 토스랩 측에 전했다. 제조, 유통, IT, F&B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 고객의 피드백을 청취하여 요구를 파악하고 AI 기능 개발에 반영했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의 데이터 유출 및 학습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한 AI 활용 환경이라는 것을 테스트 동안 검증했다.

잔디는 AI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잔디와 기업의 데이터를 연계해 답변의 정확성을 높이며, 자연어로 반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상반기 중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스프링클러는 잔디의 최상위 비즈니스 플랜인 ‘인텔리전스 플랜(Intelligence Plan)’을 신청하면 활용할 수 있다. 신청 기업에게 1개월간 무상 체험 기회와 도입 컨설팅을 지원한다.

잔디 AI 스프링클러 개발을 총괄한 서준호 CTO(Chief of Technology Officer, 최고 기술 책임자)는 “잔디는 100%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이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AI 발전 속도에 민첩하게 발맞출 수 있다”며 "기업의 AI 전환은 지속적인 개선이 필수이며, 이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잔디 AI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토스랩 김대현 대표이사는 “AI를 활용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격차가 점차 커지고 있다”라며 “지난 10년간 메신저 기반 협업툴을 서비스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누구나 AI와 쉽게 일할 수 있는 AI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남양유업, 자사몰 ‘신상위크’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오는 21일까지 ‘남양몰’에서 ‘신상위크’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초코에몽 Mini 무가당’ ‘테이크핏 몬스터’ ‘테이크핏 맥스’ 등 주요 신제품을 최대 53%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유산균 1조 CFU를 담은 ‘불가리스 플레인’ 위 건강 발효유 ‘위쎈 오리지널’ 야채 발효 주스

2

코레일, 차량분야 협력사와 ‘청렴소통 간담회’ 개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11일 대전사옥에서 철도 차량분야 협력사와 ‘차량 부품의 규격심사·납품과정에서의 청렴소통’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현대로템, 우진산전 등 차량 제작사와 부품 납품사 등 31개 업체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코레일은 철도차량 및 부품 구매 시 규격심사부터 검사, 납품까지의 업무

3

하림,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림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앞장선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다. 하림은 적극적인 고용 확대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24년도 총 고용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