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소주값 10% 내린다…국산 증류주 세금 부담 조정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12-17 15:05:10
  • -
  • +
  • 인쇄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내년 1월 1일부터 국산 증류주에 붙는 세금이 완화돼 소주 공장 출고가가 약 10% 내려갈 전망이다.


국세청은 지난 14일에 열린 주세 기준판매비율심의회에서 국산 소주의 기준판매 비율을 22.0%로 결정했다고 17일 밝혔다.
 

▲ [사진=국세청]

 

이에 국산 위스키·브랜디·일반 증류주의 기준판매 비율은 각각 23.9%, 8.0%, 19.7%로 정해졌다. 증류주에 향료 등을 섞은 리큐르의 기준판매 비율은 20.9%로 확정됐다.

이 같은 기준판매 비율은 주세 기준판매 비율 제도가 처음 도입되는 점과 음주의 사회적 비용, 물가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정해졌다는 게 국세청의 설명이다.

기준 판매비율은 주세를 계산할 때 세금부과 기준인 과세표준을 낮춰주는 세금 할인율의 일종이다. 기준판매 비율이 커질수록 과세표준이 작아져 세금이 줄어들게 된다.

국세청에 따르면 기준판매 비율 제도는 수입 주류보다 국산 주류에 더 많은 세금이 적용되는 종가세 과세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됐다.

국산 주류는 제조원가에 판매 비용과 이윤이 포함된 반출가격으로 세금이 책정된다. 반면 수입 주류에는 판매 비용‧이윤 적용 전 수입 신고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이 매겨져 국산 주류가 역차별받는다는 지적도 있었다.

국세청은 국산 소주의 과세표준이 22.0% 할인되면 공장 출고가는 약 10% 정도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현재 1247원인 하이트진로 참이슬의 공장 출고가는 내년부터 1115원으로 10.6% 인하될 전망이다.

기준판매 비율은 내년 1월 1일부터 출고되는 국산 증류주에 적용된다. 발효주류와 발포주 등 기타 주류는 같은 달 기준판매비율심의회 심의를 거쳐 2월 1일 출고분부터 기준판매 비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맥주·막걸리는 기준판매 비율 적용 대상이 아니다. 이 주종들은 양에 비례해 세금이 부과되는 종량세 구조이므로 국산과 수입 간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맥주는 1㎘당 88만 5700원, 막걸리는 1㎘당 4만 4400원의 세금이 적용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미래 육성사업 2030년 매출 비중 25% 이상 목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이노텍은 미래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30년 25%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최근 사업장 현장경영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래 육성사업이 빠른 속도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미래 신사업 비중을 2030년 전체 회사 매출의 25% 이상으로 키우는 것을

2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1330억원 규모 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를 위해 1330억원 규모의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SK스토아 등 ICT 패밀리와 함께 매년 설·추석 명절 전 대금 조기 지급을 시행해왔다. 올 추석에도 전국 1430여개 협력사와 250여개 유통망에 약 1330억원을 연휴 시작 전에

3

한화손해보험, 새 브랜드 모델에 배우 고윤정 발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화손해보험이 새 브랜드 전속모델로 배우 고윤정을 선정하고 다양한 브랜드 캠페인 활동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새 전속 모델로 발탁된 배우 고윤정은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무빙’, ‘환혼: 빛과 그림자’ ‘헌트’, 그리고 공개를 앞둔 ‘이 사랑 통역 되나요?​’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