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홈쇼핑 주총 열고 전격 해임, 유창오 전 상임감사 "정치탄압 끝까지 증명"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0 15:21:54
  • -
  • +
  • 인쇄
유 전 감사 "법인카드 사적 사용 없다, 위법·부당 처사"
사측 "해임안 주총에서 의결, 별도의 입장 없다" 선 긋기

[메가경제=주영래 기자]공영홈쇼핑은 지난 16일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유창오 상임감사 해임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대해 유창오 전 감사는 즉각 반발하며 해임조치는 명백한 정치 탄압이라고 맞서고 있어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유 전 감사는 공영홈쇼핑이 자신을 해임한 것은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인사에 대한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의 탄압"이라고 규정하면서 "부당하고 위법한 조치에 결연히 맞서 끝까지 책임을 묻고 위법함을 증명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정감사장에서 퇴장하는 유창오 전 공영홈쇼핑 상임감사 [사진=연합뉴스]


앞서 공영홈쇼핑은 국정감사에서 유창오 상임감사의 '법인카드 사적 사용'과'겸직 위반' 등으로 뭇매를 맞았다.

국감 당시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유 감사를 향해 법인카드를 부적절한 곳에 과다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감에서 지적됐던 '법인카드 및 관용차 사용'에 대한 내용은 문책 사유에 포함되지 않아 이 부분은 경찰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창오 전 감사는 "공영홈쇼핑의 해임 사유는 겸직금지 조항을 위반했다는 것이므로 공금횡령 운운하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악의적인 오보"라고 선을 그었다.

또 유 전 감사는 공영홈쇼핑 이사회와 주주총회는 해임 사유로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중기벤처특보를 한 것이 겸직(이중 취업)에 해당하고, 이사회 승인을 받지 않았기에 사규 위반이어서 해임한다 것에 대해서 대선캠프 특보는 겸직(이중 취업)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대선후보 특보는 겸직(이중 취업)이 아니고, 이사회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도 아니므로 대선후보 특보로 임명됐다는 이유로 해임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 유 전 감사의 주장이다.

유 전 감사는 "공영홈쇼핑 정관 제25조 제2항 제2호는 주총의 임원 해임 결의 방법을 규정하면서 '이사 또는 대표이사의 해임'이라고 명시하고 있을 뿐 감사 해임 규정은 전혀 명시된 바 없다"며"대선후보 특보가 선거운동에 해당되는지도 불명확하지만, 설령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현행법 어디에도 저촉되거나 위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공영홈쇼핑 관계자는 "유 감사의 해임안 처리는 주총에서 의결한 사안이다. 별도로 드릴 말씀은 없다"며 조심스럽게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B캐피탈, 3억 달러 규모 글로벌 외화채권 발행
[메가경제=정호 기자]KB캐피탈이 5년 만에 글로벌본드 시장에 복귀하며 3억 달러 규모의 외화채권(한국물)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외화채권 발행은 무보증 선순위(RegS) 방식으로, 만기가 도래하는 기존 채권 차환과 투자자 기반 확대 및 조달 채널 다각화를 목적으로 진행됐다. KB증권,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HSBC 등 글로벌 대형

2

홈서비스 넘어 법률·과외까지… 미소, 국내 대표 서비스 플랫폼 도약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미소(miso)는 1000개 이상의 서비스 항목으로 확장하며, 홈서비스를 넘어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국내 대표 서비스 플랫폼으로 도약한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청소, 이사, 인터넷, 가전 렌탈 등 필수 홈서비스는 물론 법률/금융, 이벤트/뷰티, 과외/취업, 취미/레슨, 외주 등 일상 속 다양한 요구를 포괄하는 영역까지 서비스를 제

3

CJ제일제당 햇반 라이스플랜, 누적판매량 1000만개 돌파… ‘슬로우 러닝’ 이벤트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제일제당 ‘햇반 라이스플랜’이 ‘저속라이프’ 콘셉트로 소비자와 소통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CJ제일제당은 ‘햇반 라이스플랜’의 이달 매출이 평월(1~8월) 대비 약 50% 성장, 출시 후 최고 매출을 기록하며 누적판매량 1000만개를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추세라면 ‘햇반 라이스플랜’은 연매출 700억원 이상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