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한방병원 "수확기 농업 종사자 척추관협착증 호소 증가"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3 14:43:04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가을이면 농가에선 추비, 감사비료, 웃거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땅에 비료를 준다. 특히 과수농가에선 과실에 의해 빼앗긴 양분을 나무에 보급하는 의미로 비료를 뿌린다. 문제는 20kg 정도의 무거운 포대를 들었다 내리기를 반복하다 보면 척추와 허리주변 근육·인대 퇴행을 재촉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농민 절반 가량이 대다수 고령이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52.6%로, 농가인구 고령화율이 사상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고령일수록 척추질환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미 척추관협착증 등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시니어들의 경우 해당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다.

 

▲ 이제균 대구자생한방병원장님 자생한방병원장 [사진=자생한방병원]

대표적 퇴행성 척추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노화, 지나친 사용으로 발생한다. 척추관은 척추 뼈 가운데 위치한 관으로, 척수가 지나는 공간을 말한다. 이 통로로 뇌부터 팔, 다리까지 신경이 이어진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퇴행이 오랫동안 진행돼 주변 인대가 비대해지면서 생긴다. 점차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려 허리와 다리에 통증 및 저림이 발생한다.

흔히 허리 통증 때문에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보다 다리와 엉치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특히 다리에 힘이 빠지고 저림이 동반돼 보행에 큰 불편이 생긴다. 또 허리디스크와 다르게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땐 척추관이 확장돼 통증이 줄고 뒤로 젖히면 척추관이 좁아지며 신경이 눌려 통증이 심해진다.

척추관협착증은 대개 비수술치료로 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중 한의학에서는 추나요법과 침·약침, 한약처방 등을 병행하는 한방통합치료로 척추관협착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소한다. 실제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한의통합치료 효과는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가 SCI(E)급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객관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62.2세인 척추관협착증 환자 378명을 치료 후 3년간 장기 추적하며 회복 경과를 살폈다. 분석결과 통증을 숫자로 평가하는 허리통증 숫자평가척도(NRS; 0~10)의 평균은 입원 시 중증 수준인 5.73이었으나 치료 후 퇴원 시점엔 경증 수준인 3.66까지 떨어졌다. 그리고 3년 후에도 호전세가 이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나무는 오랜 기간 땅에 단단한 뿌리를 내리고 양분을 흡수해 비로소 열매를 맺는다. 몸의 기둥인 척추 또한 관리와 정성이 필요하다. 알찬 열매를 맺어낸 과수에 고생했다는 의미로 감사비료를 주듯, 오랜 기간 열심히 움직일 수 있도록 고생한 나의 척추에도 관심을 둬 노후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하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전현무계획2' 전현무·곽튜브·이세희, 연속 3번 ‘섭외 거절’ 사태 발발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전현무계획2’ 전현무x곽튜브x이세희가 연속 3번이나 섭외를 거절당하는 초유의 사태를 맞는다. 12일(금) 밤 9시 10분 방송하는 본격 리얼 길바닥 먹큐멘터리 ‘전현무계획2’(MBN·채널S 공동 제작) 46회에서는 전현무-곽튜브(곽준빈)와 ‘먹친구’ 이세희가 ‘60번째 길바닥’ 청주에 뜬 가운데, ‘이세희의 저주’를 의심케 하

2

오리온, ‘한글날 한정판 고래밥·초코송이’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리온은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국립한글박물관과 협업한 ‘한글날 한정판 고래밥과 초코송이’를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한글날 한정판 2종은 국립한글박물관이 소장 중인 조선 왕실 기록물 속 옛한글 서체를 제품명에 넣었다. 고래밥에는 1459년 간행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언해본이 실려있는 ‘월인석보’ 속 네모반듯한 판본체를 적용했

3

코스맥스, 국가유산진흥원과 조선 왕실 정취 담은 ‘궁궐 향수’ 개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스맥스가 국가유산진흥원과 손잡고 우리 전통의 향기를 복원해 대중에 선보인다. 코스맥스는 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함께 창경궁 앵도나무와 덕수궁 오얏나무의 향기를 담은 '단미르 궁궐 향수' 2종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개발은 역사 속 향기유산을 재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코스맥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