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은행 대출 연체 1년새 2배 급증...금융 위기 '뇌관' 부상

장준형 / 기사승인 : 2023-12-26 15:42:36
  • -
  • +
  • 인쇄
전체 금융기관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 1년 새 2.4배 급증
한은 "비은행권 중심으로 연체율 빠르게 상승...추가 상승" 경고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부동산 경기 부진과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은행 대출 연체가 1년 사이 2배로 늘어나 건설 관련 대출 부실이 금융 위기 뇌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현재 모두 23조238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20조3915억원), 2021년 말(15조9704억원)과 비교해 각 1년과 2년 사이 14%(2조8472억원), 46%(7조2683억원) 늘어난 것이다. 

 

연체액의 증가속도는 더 가파르다. 현재 연체액은 1051억원으로 작년 말 524억원에서 2배 늘어났다. 2년 전과 비교하면 3.2배 급증했으며,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2022년 0.26%에서 11월 기준 0.45%까지 뛰었다.

 

▲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금융권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도 안심할 상황이 아니라고 내다봤다. 부동산 PF의 경우 11월 말 기준 5대 은행 잔액은 18조2404억원 정도다. 올해 들어 26%(3조7917억원) 더 늘었났기 때문이다.

 

다만 연체율이 아직 0%에 까깝고 은행권의 부동산 PF는 주로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증부를 위주로 대부분 선순위 대출이 이뤄져 PF 관련 부실 위험이 당장 크지는 않지만, 부동산 경기 부진이 계속되는 만큼 선제적 위험 관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KB국민은행의 경우 6개월 이내 만기 도래 사업장, 부실 징후 사업장 등에 대해 현장 실사 등 강도 높은 주기적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중점·점검 관리 대상 사업장을 정해 매달 위험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미 지난해 말부터 PF 심사 가이드라인을 강화했고, PF에 대한 대출 재점검과 기획 감리도 수시로 하고 있다.

한국은행도 부동산·건설 관련 문제와 부실 가능성에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의 '업종별 대출 집중도' 분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재 부동산업의 집중도는 3.3으로 5개 업종(부동산업·건설업·숙박음식·도소매·제조업)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대출 집중도는 업종별 대출금 비중을 업종별 명목 국내총생산(GDP) 비중으로 나눈 값으로,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부동산업에 대출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한은 조사 결과 전체 금융기관의 건설업 및 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현재 1.75% 수준으로 작년 2분기(0.72%)와 비교하면 1년 새 2.4 배로 뛰어올랐다고 밝혔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금융 불안 요소로 지목한 바 있다.

한은은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건설 및 부동산업 연체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대출 만기 연장 등 유동성 지원은 대형 건설사에만 해당되는 사안이고, 주택 사업에만 올인하는 중소 건설사들은 위기에 몰렸다"며 "매수 심리를 되살릴만한 호재도 보이지않아 (부동산)침체가 계속 된다면 내년에 부실 PF발 시한폭탄이 터질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아제약, 소화 기능 강화한 ‘베나치오 프로액’ 리뉴얼 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이 소화 기능을 강화한 ‘베나치오 프로액’을 리뉴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뉴얼 제품은 기존 창출, 육계, 건강, 진피, 감초, 현호색, 회향 등 전통 생약 성분에 UDCA(우르소데옥시콜산)와 산사를 추가해 밀가루·육류 중심의 현대인 식습관에 최적화된 복합 소화 불량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산

2

네이버,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 개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오는 11월 6일부터 7일까지 양일간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AI 도구를 비롯한 네이버의 최신 기술과 플랫폼 전략을 공개하고, 업계 파트너와 교류하는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단24(DAN24)’에서 선보인 온서비스 AI 전략에 이어 한 단계 더 발

3

LG전자, 이사회서 인도법인 지분 15% 처분 결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전자가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 구주 매각을 의결했다. 이사회 결의에 따라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최종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며, 이르면 내달 중 기업공개(IPO)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LG전자는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1억181만5859주)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공시했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