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생명, 금융소비자 대상 경제·금융교육 강화 눈길

송현섭 / 기사승인 : 2023-07-11 16:14:15
  • -
  • +
  • 인쇄
학생 금융교육·어르신 금융사고 예방 교육 등으로 차별화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미래에셋생명은 금융 소비자들에게 금융 지식을 알리고 올바른 경제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노력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무엇보다 강화된 ‘1사1교 금융교육’과 ‘어르신 대상 금융사고 예방교육’ 등으로 차별화된 점이 돋보인다. 1사1교 금융교육은 학생들의 금융 이해력 편차를 줄이고 금융교육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금융사에서 인근 학교와 자매 결연한 뒤 금융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미래에셋생명이 금융소비자들에게 올바른 금융 지식과 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1사1교 금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생명은 지난 2015년부터 9년째 실시해온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올해 6월말 누적 기준 1만2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미래에셋생명 1사1교 프로그램은 ‘찾아가는 금융교실’ 형태로 임직원이 직접 자매결연 학교를 방문해 교육을 진행한다. 미니 금융게임과 보드게임 등 놀이형 금융교육 콘텐츠를 활용해 학생들이 흥미롭게 금융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미래에셋생명 1사1교 자원봉사자들은 사전에 학생들이 원하는 교육 내용을 확인한 뒤 니즈에 맞는 교육안을 미리 구성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돼있다. 더 전문적인 교육을 원하는 동아리 학생들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현직으로 근무하는 임직원들이 주식·채권투자와 선물·옵션 등 다양한 최신 금융정보를 준비해 교육을 진행한다.

미래에셋생명은 또 대상별 맞춤형 금융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금융 지식이 취약한 어르신들을 위해 노인복지관 등을 찾아 보이스피싱·보험사기 등 금융사고 예방 교육도 진행한다.

장춘호 미래에셋생명 CCO는 “사랑을 실천하는 보험업 본질에 맞춰 자긍심을 갖고 꾸준히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금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경제활동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맞춰 다양한 경제·금융교육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래에셋생명은 미래에셋 박현주 재단과 연계해 ‘배려가 있는 따뜻한 자본주의의 실천’을 기치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월급의 1000원단위 자투리를 적립해 소외계층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지원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 임직원들이 직접 천연비누를 만들어 해외 소외계층 가정에 전달하는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현섭
송현섭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리, 10월 '월간컬리' 진행… 키워드는 '클린이팅'
[메가경제=정호 기자]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는 10월 월간컬리 키워드로 ‘클린이팅’을 선정하고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월간컬리는 매달 하나의 키워드를 선정해 고객에게 관련 상품과 라이프스타일 솔루션을 제안하는 정기 프로모션이다. 고객은 월간컬리를 통해 이달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발견하고 경험할 수 있다. 키워드

2

샤오미코리아, '한가위 빅세일 통해 스마트폰·TV 특가 판매
[메가경제=정호 기자] 글로벌 IT 기업 샤오미의 한국 법인 샤오미코리아가 다가오는 추석을 맞이해 오는 10월 12일까지 ‘한가위 빅세일’을 진행한다. 1일 샤오미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서는 추석 선물로 인기가 높은 로봇청소기, TV, 공기청정기를 비롯해 새 학기 필수 아이템으로 꼽히는 스마트폰, 태블릿, 이어폰, 스마트 밴드 등 다양한 제품을 최대 20%

3

정관장, 내국인 VS 외국인 정관장 국가별 선호 제품 공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정관장이 2025년 7월~8월 여름 휴가철 면세점 매출을 분석한 결과 국가별로 선호하는 제품 차이가 뚜렷하게 나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에 따르면 올해 공항 여객 수는 6월까지 1200만 명대를 유지하다 여름 성수기를 맞아 2025년 7월 기준 1324만 명, 8월 기준 1401만 명을 기록했다. 휴가철 여행 수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