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올해 상반기 실적 개선 뚜렷…“2018년 이후 영업손실 최저 수준”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8-16 16:50:17
  • -
  • +
  • 인쇄
상반기 영업손실 591억..."자구노력 통한 비용 절감"
5분기 연속 판매량 증가세...수출 전년比 42.7%↑

KG그룹이 인수 절차를 진행 중인 쌍용자동차가 지난 상반기 영업손실을 크게 낮추며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

쌍용차는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1조 4218억 원과 영업손실 591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정문. [사진=연합뉴스]

 

쌍용차 관계자는 이번 실적에 대해 “판매 회복세와 함께 제품 믹스 변화에 따른 매출 증가, 지속되고 있는 자구노력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로 재무구조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된 것”이라고 말했다.
 

판매량은 4만 7709대로 지난해 1분기 1만 8619대 이후 5분기 연속 판매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뉴 렉스턴 스포츠‧칸 등 제품개선 모델 판매호조에 따른 제품 믹스 변화로 23.8%의 매출 증가세를 기록했다.

 
▲ 쌍용차 2022년 상반기 판매 및 손익 현황. [쌍용자동차 제공]

 

지난 5월 6년 만에 월 최대 실적을 기록한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7%나 성장했다. 지난 3월 이후 4개월 연속 8000대 판매를 넘어서는 상승세를 이끌었다.

판매회복에 따른 매출 증가와 회사의 자구노력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더해져 영업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

쌍용차 관계자는 “직원들이 급여 20%를 반납하는 등 인건비를 줄이고 가동률을 늘리는 노력을 통해 효율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의 1779억 원에서 3분의 1 수준인 591억 원으로 줄었다. 쌍용차 기업회생절차 돌입 이전인 지난 2018년 상반기 387억 원 이후 최저 수준이다.
 

당기 순손실은 지난해 상반기 1805억 원에서 6분의 1 수준인 303억 원으로 축소됐다. 이 역시 지난 2017년 상반기 179억 원 이후 가장 낮은 기록이다.

 

▲ 쌍용차가 지난달 출시한 '토레스'. [쌍용자동차 제공]

 

현재 쌍용차는 신차 토레스 계약 물량이 5만 대를 넘어서고 있어 지난 7월 2교대 전환과 휴가 기간 주말 특근, 부품 협력사들과 공조를 통해 생산라인 가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쌍용차 관계자는 “내수‧수출 등 판매 물량 증가와 함께 자구노력을 통해 손익도 큰 폭으로 개선 되고 있다”며 “토레스 판매가 상승세를 보이는 만큼 총력 생산체제 구축을 통해 판매 물량을 증대하고 재무구조 역시 한층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생활건강, 세계적 권위 ‘IDEA 디자인 어워드’ 2관왕 달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LG생활건강이 미국 IDEA 디자인 어워드에서 브랜딩과 패키징 부문 본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글로벌 디자인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입증했다.올해 IDEA 디자인 어워드 브랜딩 부문에서는 ‘더후 브랜드 북(The Whoo Brand Book)’이, 패키징 부문에서는 ‘유시몰 클래식 치실’이 각각 본상에 선정됐다. 더후 브랜드 북은 궁중

2

"롯데카드는 롯데 계열사 아냐" 해킹 사고에 롯데그룹까지 피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한 피해가 롯데그룹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롯데카드의 대주주는 MBK파트너스로, 롯데그룹 계열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수 고객이 롯데카드를 그룹 계열사로 오인하면서 브랜드 가치 훼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롯데는 2017년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금융·보험 계열사 지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되면서, 2019

3

CJ그룹, 추석 앞두고 중소 협력사 3천억원 조기 지급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CJ그룹(회장 이재현)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중소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위해 결제 대금 3천억원을 조기 지급한다. CJ제일제당, CJ올리브영, CJ대한통운, CJ프레시웨이, CJ올리브네트웍스 등 주요 5개 계열사가 참여하며, 총 3천800여 납품업체가 혜택을 받는다. 지급은 오는 26일부터 명절 연휴 전까지 이뤄지며, 기존 지급일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