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3D 라이다(LiDAR)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서울로보틱스와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ATI)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서울로보틱스는 자율주행의 눈으로 불리는 3D 라이다의 영상을 AI 기반으로 인지 분석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 |
▲ KT AI 모빌리티 사업단장 최강림 상무(왼쪽)와 서울로보틱스 이한빈 대표가 협약식에서 함께한 모습 [사진=KT 제공] |
양사는 KT의 서울 송파 사옥에서 최강림 KT AI 모빌리티 사업단장(상무)과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KT‧서울로보틱스는 ATI 시장 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력한다. 양사는 ▲ 국내외 차량 OEM 대상 ATI 사업 ▲ 자율발렛주차(AVP) 파일럿 사업 ▲ 자율주행 분야 신사업 모델 개발 등의 협력 과제 발굴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자율주행은 차량에 내장된 센서와 소프트웨어만 활용하지만 ATI는 레이저빔으로 이동 객체를 인식하는 라이다 센서와 컴퓨터 등을 활용한다.
라이다 센서 등을 자동차 생산 공장을 비롯한 외부 시설에 구축해 차량의 위치 등을 파악하고 원격으로 자율주행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모든 영역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시스템인 레벨5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5G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와 연계한 AT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국내외 사업을 지속해서 확장할 계획이다.
KT는 차량사물통신 ‘V2X’, 이미지와 영상을 분석하는 ‘비전 AI’ 등 모빌리티 관련 통신·소프트웨어 기술과 함께 차량·도로 관제 및 실시간 모니터링 등이 가능한 통합 플랫폼인 모빌리티 메이커스를 보유하고 있다.
최 상무는 “KT가 보유한 모빌리티 관련 통신‧소프트웨어‧인프라 역량과 서울로보틱스의 혁신적 기술의 협업을 바탕으로 제조업‧물류업 등에서 더욱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