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어비스 '검은사막', 신규 클래스 ‘커세어’ 공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6-29 19:19:31
  • -
  • +
  • 인쇄

펄어비스(대표 정경인)가 검은사막 PC-모바일-콘솔에 신규 클래스 ‘커세어’를 29일 공개했다.

해적 콘셉트의 여전사 ‘커세어’는 시원스럽고 밝은 배경 스토리와 유쾌한 플레이 스타일이 특징이다. 물을 자유자재로 다루며, ‘인어 변신’으로 해일을 일으키거나 돌고래를 소환하는 기술 등 여름 분위기를 물씬 느낄 수 있다. 

 

▲ 펄어비스 제공


‘커세어’는 자유자재로 길이가 변하는 ‘세레나카’를 주무기, 파도의 힘이 담긴 바다의 보물 ‘마레카’를 보조무기로 사용한다. 마레카로 신비로운 로프를 소환해 공중에 고정하고 반동과 탄성을 이용하는 이동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커세어 레벨 달성 이벤트를 검은사막 8월 25일, 검은사막 콘솔 9월 1일까지 진행한다. 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순차적으로 ▲봉인된 전투의서 ▲해적 안대 ▲해적 두건 ▲가방 슬롯 확장권 ▲발크스의 외침 ▲선박 등록증 : 에페리아 고속정 ▲금괴, 빛나는 샤카투의 인장, 발크스의 조언(+60) 크론석 100개을 얻을 수 있는 ‘해적의 보물 상자’ 등을 지급한다.

검은사막 모바일 이용자는 ‘커세어’ 달성 레벨에 따라 ▲해적 안대 ▲6세대 쪼크 갑판장 ▲커세어 전용 엔트복 ▲사막 위장복 ▲1000 블랙펄 등을 받을 수 있다. ‘커세어’ 출시 기념 특별 상점도 오픈했으며, 몬스터 제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해적 주화’를 모아 ▲장인의 실타래 ▲차원의 조각 ▲토템 상자 등 획득 가능하다.

검은사막, 검은사막 콘솔 이용자는 빠른 성장을 지원하는 ‘썸머 시즌’ 서버를 29일부터 즐길 수 있다. 썸머시즌은 29일부터 9월 29일까지 3개월간 진행되며, 일반 서버로 전환 후에도 성장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성장패스’, 캐릭터의 장비 및 레벨을 옮길 수 있는 ‘전환 시스템’ 등을 도입해 기존 시즌 서버보다 큰 혜택을 제공한다.

‘시즌 캐릭터 레벨업 보상’ 이벤트도 진행한다. 검은사막은 8월 25일까지, 검은사막 콘솔 이용자는 9월 1일까지 참여 가능하다. 달성 레벨에 따라 ▲성장에 필요한 블랙스톤을 각 레벨 별로 다수 지급 ▲천마의 뿔피리 ▲시즌 장비인 투발라 장비 강화 재료인 블랙스톤, 투발라 광석, 제련된 마력의 블랙스톤 ▲동(V) 등급의 투발라 반지와 귀걸이 등을 제공한다.

신규 클래스 ‘커세어’와 ‘썸머 시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