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만에 첫 적자서 최대 실적으로...포스코, 철강 새 역사 써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7-23 05:44:43
  • -
  • +
  • 인쇄

-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2925억 영업익 2조20096억 -

 

포스코가 분기 실적을 공개한 2006년 이래 최대 성과를 거뒀다. 2020년 2분기 별도기준 사상 첫 적자 이후 1년 만에 급반전.

22일 포스코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조2925억원, 영업이익 2조200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각각 33.31%, 1212.22% 증가한 숫자.
 

▲ 자료 = 포스코 제공

 

지난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익 1조5524억원을 기록하며 10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는데, 한 분기만에 이를 갈아치웠다.

코로나19 여파서 글로벌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며 철강 수요에 비해 공급 불균형을 보였던 게 포스코의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포스코는 200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는 철광석 원가의 고공행진을 적극적으로 제품가격에 반영했다.

하반기에도 호조세는 이어질 것으로 포스코는 내다보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가전 수요는 여전히 강세며, 이와 연동해 반도체 수급 문제로 생산 차질을 빚었던 자동차산업의 절치부심, 또 2년치 이상 물량을 수주한 조선산업 등의 수요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점도 포스코에겐 이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는 올해 연간 매출액 목표를 연결기준 기존 63조2280억원에서 66조4374억원으로 상향했다. 2030년까지 생산능력을 6000만톤 이상으로 늘려 글로벌 톱티어 위상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한편 포스코그룹의 실적 호조에는 글로벌인프라와 신성장 부문의 성장도 한몫을 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주력 사업인 이차전지 양극재 성장에 힘입어 분기 최대 경영실적을 경신했다. 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 4800억원, 영업이익 356억원을 기록하며 지난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넘었다.

전체 매출의 44%를 차지한 에너지소재사업 중 양극재 매출액은 8분기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2년간 438% 증가했다.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제품의 출하량이 늘고 대량생산 체제에 진입하면서 이익이 크게 늘어난 덕이다.

철강 및 식량소재 트레이딩에서 호조를 보인 포스코인터내셔널도 매출액 8조5245억원, 영업이익 1700억원을 달성하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