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크통·옹기로 빚은 숙성의 미학 '화요 19금(金)'... 'K-주류' 시장 정조준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3 09:34:18
  • -
  • +
  • 인쇄
향과 맛 '두 마리 토끼' 잡은 비결, 오크통·옹기
보드카·사케·진 못지않은 전통주 도약 '목표'

[메가경제=정호 기자] 화요가 K푸드가 세계 각지로 발길을 넓히는 가운데 K-주류의 '황금기'를 목표로 '화요 19금(金)'을 공개했다. 화요는 이 제품을 앞세워 미국, 일본, 중국, 동남아 등 27개국의 흥행 돌풍을 예고했다.

 

2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화요가 서울 송파구 레스토랑 비채나에서 개최한 시음 행사에서는 화요 19금과 다양한 페어링 요리를 선보이는 시간을 마련했다. 쌀을 약 10% 도정해 만들어진 제품으로 병 디자인은 붉은색과 금색을 섞어 '모두의 새로운 황금기'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 조희경 화요 대표이사가 인삿말을 전하고 있다.[사진=메가경제]

 

이 제품은 화요17·화요25·화요41·화요53 등 출시 이후 10년만에 선보이는 전통주 신작이다. 주된 특징으로는 오크통과 옹기에서 각각 숙성한 원액을 블랜딩해 부드럽고 깊은 맛을 구현했다. 기존 화요 제품보다 대중적인 콘셉트로 상시 판매되는 제품이다.  

 

이날  조희경 화요 대표이사는 "보드카, 사케, 진 등 해외 유명 주류에 뒤지지 않는 전통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화요만 부드러움과 누구나 하루의 끝에 즐길 수 있는 전통주를 만들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날 페어링 음식으로는 왼쪽 시계 방향으로 전갱이 무침, 녹두전, 새우 강정, 채끝스테이크가 제공됐다. 디저트로는 더덕주악과 흑임자 약과 초콜릿이 마련됐다. 이날 제공된 화요19금에서는 잔을 흔든 뒤 짧게 여러번 마셨을 때 부드럽게 혀를 감싸는 옅은 단맛이 느껴졌다. 목 넘김은 깔끔했고 숨을 내쉴 때 오크통 특유의 향이 은은하게 퍼졌다. 

 

▲ 화요 19금 제품 이미지.[사진=메가경제]

 

제품 소개를 맡은 박준성 생산본부 상무는 "화요 19는 각각 오크와 옹기 숙성을 한 주류를 블랜딩한 최초의 제품이고, 오크통 특유의 훈연향과 쌀 증류주의 과일 향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애경산업 럽센트, 생화향 담은 ‘스크럽 바디워시’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애경산업은 바디케어 브랜드 ‘럽센트’(LUVSCENT)가 ‘스크럽 바디워시’(SCRUB BODY WASH) 4종을 새롭게 선보였다고 10일 밝혔다. 럽센트 스크럽 바디워시는 프랑스산 프리미엄 향료를 기반으로 글로벌 향료사와 공동 개발한 럽센트만의 시그니처 생화향을 담았다. 럽센트 스크럽 바디워시는 코코넛 껍질 가루 등 자연 유래 저

2

웅진컴퍼스, 영국 켄싱턴대학교와 MOU 체결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웅진씽크빅의 영어교육 전문 자회사 웅진컴퍼스가 영국 켄싱턴대학교(Kensington College of Business, KCB)와 글로벌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10일 밝혔다. 두 기관은 현지 체류형 영어캠프 기획·운영, 영국 문화권 내 공인 영어 시험 및 KCB 정규 학부 과정 등록금 우대 혜택 마련을 비롯

3

국내 'SiC 전력반도체' 기술 자립률 10%→20% 상향…기술 국산화·인재 양성 집중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정부가 현재 10% 수준인 국내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 기술 자립률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이를 위해 'SiC 전력반도체 추진단'을 이달 중 구성하고, 서울대와 부산대 등 전국 8개 대학을 중심으로 특화된 인재 양성에 나선다.이런 계획은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