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4000억, 지역난방공사, 석탄공사, 석유공사도 올해 대규모 적자 예상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정부가 한국전력공사(한전) 6조 4193억원을 비롯해 발전 자회사들까지 포함하면 올해 6조 6400억원 이상의 당기순손실(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레일(한국철도공사)도 올해 4000억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 |
▲ 전남 나주 한국전력공사 본사. [사진=한국전력공사] |
11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3∼2027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을 보면 수익성이 악화하거나 재무 구조 전반이 취약해 정부가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재무위험 기관' 14곳 가운데 9개 기관이 올해 당기순손실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한전이 단연 가장 큰 적자 경영을 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제 에너지 가격과 발전사의 전력 도매가격 급등에 따른 영업 적자로 '초유의 재무위기'에 봉착했다는 게 한전의 평가다.
한전은 지난해(25조2977억원)에 이어 올해 6조4193억원, 내년 177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에는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환율과 에너지 가격이 각각 5%·10% 오르는 '부정적 시나리오'가 펼쳐질 경우 2027년까지 매년 적자가 지속되고 당장 내년부터 사채 한도를 넘기게 돼 연내 한전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6월 말 연결 기준 한전의 총부채는 201조 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겼다.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전기요금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아 2021년 이후에만 47조원이 넘는 막대한 영업손실을 본 것이 한전 총부채 급증의 주된 요인이다.
문제는 작년부터 40% 가까이 전기요금을 올렸는데도 한전 수익 구조는 여전히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데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7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한국전력의 부채 문제와 관련해 "이전 정부가 제때 전기요금 조정을 하지 않아 한전이 '엄청난 적자'를 안게 됐다. 어떤 대책이든지 있지 않으면 한전이 부도가 날 것이다"라고 밝혔다.
정부가 추가 전기요금 인상을 용인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일단 정부는 전기요금의 일정 수준 인상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한전의 부채 문제와 관련해 "가능하다면 전력요금 조정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전기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전의 5개 발전자회사 가운데 서부발전(1058억원), 남부발전(546억원), 남동발전(406억원), 한국수력원자력(206억원)도 올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레일은 올해 3929억원, 내년 539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전기료 인상, 운송 부문 수요 회복 지연, 금리 인상과 역세권 개발 지연 등에 따른 이자 비용 증대 등이 재무 악화 요인으로 꼽혔다.
그 밖에 한국지역난방공사(2246억원), 대한석탄공사(1499억원), 한국석유공사(982억원)도 올해 당기순손실을 예고했다.
올해 적자를 예고한 9개 기관 중 내년에도 당기순이익이 적자일 것으로 예상한 기관은 한전, 한국석탄공사, 코레일 등 3곳이다.
이들 기관들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올해 1 미만일 것으로 예상됐다. 영업해 번 돈으로 이자도 내지 못한다는 뜻이다.
한전(-2.6배), 남동발전(-0.2배), 남부발전(0.3배), 동서발전(0.1배), 서부발전(-0.2배), 중부발전(0.5배), 한국수력원자력(0.8배), 한국지역난방공사(-1.7배), LH(0.3배), 광해광업공단(-0.6배), 대한석탄공사(-1.3배), 코레일(-0.6배) 등 12곳의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었고 한국석유공사(1.8배)와 한국가스공사(1.3배)만 1을 웃돌았다.
정부는 자산 매각, 사업 조정, 경영 효율화, 수익 확대,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재무위험 기관의 재정 건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