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Q, 브레이브걸스와 황광희가 함께한 광고 영상 공개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6-11 10:50:30
  • -
  • +
  • 인쇄
ASMR 형식 치킨 소개도 포함

국내 최대 치킨 프랜차이즈인 제너시스 비비큐(회장 윤홍근)가 브랜드 모델 브레이브걸스와 황광희가 함께한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광고영상은 브레이브걸스와 황광희가 ‘황올한 BBQ치킨 파티’를 즐기는 콘셉트.
 

▲사진 = BBQ 제공

 

이들은 경쾌한 음악에 맞춰 황금올리브 속안심, 황올한 깐풍치킨, BBQ 스모크치킨, 체고치순살, 메이플버터갈릭 등 각자의 ‘최애치킨’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광고엔 브레이브걸스 멤버와 황광희가 ASMR형식에 맞춰 최애 치킨을 속삭이듯 소개하는 ‘치SMR’이 공개되어 많은 팬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롭게 선보이는 BBQ 특제 소스 ‘파인마요소스’와 ‘치즈갈릭 소스’ 등 다양한 소스에 치킨을 찍어 먹는 모습과 각 멤버들의 달콤한 목소리가 어우러져 소비자들의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한다.

실제 촬영 현장에서도 브레이브걸스 멤버 특유의 상큼하고 발랄한 목소리와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황광희의 반전 목소리가 공개되어 현장 스태프들의 감탄을 자아냈다는 후문이다.

BBQ는 ‘치SMR’ 광고로 다양한 조합으로 인기 메뉴를 즐길 수 있는 각 멤버별 치킨세트 메뉴를 통통튀는 이름과 함께 선보였다.

먼저, ‘민영세트’(BBQ스모크치킨+케이준감자튀김+매직칠리소스)와 ‘은지세트’(황금올리브속안심+소떡소떡+치즈갈릭소스+블랙페퍼시즈닝), ‘광희세트’(메이플버터갈릭치킨+포테이토치즈그라탕+메이플버터갈릭소스+BBQ수제맥주)등 기존 인기 제품으로 구성된 세트 메뉴가 있다.

또 ‘유정세트’(황올한깐풍치킨+통새우멘보샤+파인마요소스), ‘유나세트’(체고치+오징어스틱)로 구성된 총 다섯 가지의 세트가 공개됐다.

또한 BBQ는 공식 유튜브 채널과 인스타그램을 통해 광고 촬영 현장 및 비하인드 영상 등을 사전 공개했다.

브레이브걸스 멤버들은 평소에도 BBQ치킨을 많이 시켜먹는다며 히트곡 롤린의 한 부분을 “BBQ 사랑한다고”로 개사해 부르는 등 인터뷰 촬영 중에도 애정 가득한 모습을 선보였다.

사전공개한 영상들은 공개 일주일만에 조회수 13만회를 넘으며 정식 광고가 공개되기도 전부터 MZ세대들에게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BBQ 관계자는 “브레이브걸스와 황광희의 밝고 긍정적인 모습이 BBQ의 브랜드 이미지와 잘 어우러지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도 해당 모델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