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목적형 메신저서 탐색형 서비스로 진화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카카오는 모바일 시대를 지나 인공지능(AI) 시대로 진화함에 따라,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해왔으며, 자사 메신저 서비스 카카오톡의 대화창은 오늘부로 모든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의 창'이 될 것입니다."
![]() |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3일 경기도 용인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개최된 이프 카카오 25컨퍼런스를 통해 키노트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메가경제] |
◆ 카카오, 모바일 넘어 AI 시대로 '대전환' 선언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23일 오전 10시 경기도 용인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개최된 '이프 카카오 25'컨퍼런스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가능성 일상이 되다' 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키노트를 맡은 정신아 대표가 카카오톡의 대규모 변화와 새롭게 추가되는 다양한 AI 서비스를 공개했다.
정 대표는 "약 15년 전 카카오는 모바일 혁명기 초입에 뛰어들어 사람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만들었다”며 "앞으로 15년 동안에도 AI를 통해 다시 한번 삶의 풍경을 바꾸고 새로운 미래의 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바일 시대에서 AI 시대로 넘어가는 이노베이션 윈도우(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일시적으로 열리는 혁신의 기회)가 도래했다"며 "카카오는 2010년 단 100명으로 시작한 카카오톡을 고객의 일상을 편리하게 만드는 데 집중해 왔다"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AI 대중화를 위한 그룹의 3가지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자체 개발한 '카나나'부터 오픈AI의 GPT까지 다양한 언어모델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정책 ▲메시징·금융·모빌리티 등 그룹 내 주요 서비스를 하나로 엮는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생태계 비전 ▲사용자의 일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심층 데이터 구축 전략 등이다.
아울러 AI의 문턱을 낮춰 카카오톡 하듯 쉽고 편하게 최신 기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신규 AI서비스 라인업을 공개했다. 5000만 카카오톡 이용자 저마다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개인의 필요 및 취향을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
▲카카오가 공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 카나나-나노. [사진=메가경제] |
◆ '카나나' 공개…명령받는 AI에서 '친구 같은 AI'로
이를 위해 매일 사용하는 카카오톡에 자체 AI 기술이자 서비스인 ‘카나나(Kanana)’를 접목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더 편리해진 일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정 대표는 "카나나는 더 이상 명령을 기다리는 도구가 아닌 먼저 말을 걸고 제안하는 친구 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며 "공연 예매, 상품 추천처럼 생활 속 다양한 활동도 대화만으로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보안성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온디바이스(On-Device) AI 모델'도 함께 공개했다. 초경량 모델 '카나나 나노'는 1.3B 파라미터, 676MB 용량으로 와이파이 환경에서 18초 만에 다운로드 가능하며 스마트폰 내에서만 작동해 서버 저장 없이도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 대표는 "사용자 데이터를 열람하거나 저장하지 않으며 요약 결과는 즉시 삭제된다"며 "챗GPT 학습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일도 없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오픈 AI와의 공식 협업 결과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카카오톡에는 챗GPT 기능이 탑재될 예정이다.
오는 10월부터 카카오톡 채팅 탭 내에서 바로 ChatGPT를 사용할 수 있으며 최신 GPT-5 모델 기반의 텍스트 및 이미지 생성 기능까지 지원된다. 사용자는 별도의 앱 없이도 AI를 대화창에서 바로 호출해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고 카카오 생태계 서비스와 연동해 실행까지 이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정 대표는 "챗GPT를 넘어 실생활 서비스를 수행하는 AI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