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7위의 추억 금호아시아나, 100위 밖 밀리며 대기업집단 제외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8 13:42:19
  • -
  • +
  • 인쇄
아시아나항공 매각에 자산 3.4조원으로 축소
무리한 차입 통한 몸집 확장, 금융위기 유탄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한 결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하는 대규모기업집단 명단에서 아예 제외됐다.

 

공정위는 지난 27일자로 기업집단 금호아시아나를 자산 10조원 이상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과 자산 5조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에서 제외했다고 28일 밝혔다.

 

▲ 금호아시아나그룹 사옥. [사진=금호아시아나]

 

금호아시아나는 2023년 말 기준 자산이 17조3900억원으로 지난해 공정위 지정까지는 재계 서열 28위로 상출·공시집단에 남아 있었지만 지난해 12월 한진그룹 소속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출자자로 올라섰다. 

 

이로 인해 아시아나항공과 그 아래 에어부산·에어서울 등 7개사가 함께 계열 제외되면서 금호아시아나의 자산총액은 3조4300억원으로 줄고 재계 순위도 100위 밖으로 밀려났다.  금호아시아나는 이들 계열사들을 올해 초 계열 제외 신청을 했고, 공정위는 관련 자료를 분석해 전날 지정을 해제했다.

 

1946년 고 박인천 창업주가 설립한 금호고속을 모태로 설립된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삼구 전 회장 시절 공격적인 그룹 확장에 나서며 2006년 대우건설을 6조4000억원, 2008년 대한통운을 4조1000억원에 인수하면서 재계 서열 7위에 올라서기도 했다.

 

하지만 무리한 차입으로 두 회사를 인수했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자비용 상승 등으로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 급기야 박삼구 전 회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간 소송전까지 벌이는 등  '형제의 난'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에도 이 그룹은 취약한 재무구조가 발목을 잡았고 아시아나항공 매각에 나서면서 사실상 재벌의 위상을 잃었다.

 

공정위는 매해 기업집단의 자산총액을 집계한 뒤 대기업집단의 명단을 발표하는데 지정된 기업집단들은  사익편취 규제, 상호 출자 금지, 계열사 채무보증 금지, 금융·보험사 의결권 제한 등 규제 대상이 된다.

 

대기업집단에서 제외되면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각종 대기업 규제 대상에서 빠지게 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