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덴 스터디카페, 부천상동역점 5일 그랜드 오픈...수도권 브랜드 인지도 입증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3 14:39:56
  • -
  • +
  • 인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차세대 학습 공간 브랜드 아이덴 스터디카페가 오는 5일 부천상동역점을 오픈하며 수도권 내 브랜드 확장을 가속화한다.

 


아이덴에 따르면 아이덴 부천상동역점이 오픈 전부터 372명의 사전 예약 신청자 수를 기록하며, 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고 강조한다. 


아이덴 부천상동역점은 지하철 7호선 상동역에서 도보 1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주변에 배후세대가 밀집된 핵심 상권 내 입점하여 학습 공간을 필요로 하는 수요층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부천상동역점은 넓은 평수를 기반으로 기존 학습 공간과 차별화된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차별화된 좌석 구성, 최신 IT 시스템을 갖춘 프리미엄 스터디카페로, 이용자들에게 최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이덴 브랜드는 푸드라운지, 카페라운지, 스터디존, 포커스존 등 용도에 따라 최적화된 학습 공간을 조성해 이용자들이 학습에 몰입하면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평수에 관계없이 전국 모든 매장에 10가지 이상의 좌석 구성을 구현해 이용자가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최적의 좌석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브랜드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아이덴은 강조한다. 

실제로 아이덴은 업계 후발주자로 시작했지만 단기간 내 프리미엄 스터디카페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단순한 공간 제공을 넘어 이용자들에게 최적의 학습 환경과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시도 덕분이라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현재 아이덴은 다양한 학습 관리 플랫폼과 MOU(업무협약)을 추진 중이며, 올 상반기 내에 전국 모든 지점에서 이용 가능한 체계적인 학습 관리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단순히 공간을 빌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학습 공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덴 관계자는 “부천상동역점은 수도권 내에서도 높은 학습 수요를 갖춘 지역에 입점한 만큼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아이덴의 차별화된 학습 환경을 경험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스터디카페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아이덴 부천상동역점은 그랜드 오픈을 기념해 한정 수량 사전 예약자 혜택 및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이덴은 앞으로도 차별화된 학습 환경, 혁신적인 운영 시스템, 그리고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업계 대표 학습 공간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이덴 부천상동역점’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T, 3분기 영업익 5382억원...전년비 16.0%↑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연결기준 3분기 매출 7조1267억원, 영업이익 538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 영업이익은 16.0% 증가한 수치다. 별도기준 매출은 5조190억원, 영업이익은 3409억원을 달성했다. 무선 사업 매출은 4.0% 증가한 1조896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1조7336억원으로

2

NH투자증권, ‘파두 사태’ 집단소송 피소…매매 일시 정지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거래소가 NH투자증권의 주식 거래를 일시 정지했다. NH투자증권이 지난해 파두의 상장을 주관하는 과정에서 증권신고서와 투자설명서에 허위 사실을 기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투자자들이 집단소송을 제기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거래소는 이날 오전 7시 58분부터 9시 30분까지 NH투자증권의 주권 매매를 정지한다고 공시

3

FIU, '고객확인의무 위반' 두나무에 과태료 352억 부과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금융정보분석원(FIU)은 6일 자금세탁방지 의무 위반을 이유로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에 352억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FIU는 이날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두나무가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상 고객 확인의무 등을 다수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앞서 FIU가 실시한 현장검사에서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