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지난해 394만 4579대 판매…전년比 1.4%↑ '해외 판매 증가'

이석호 / 기사승인 : 2023-01-03 17:50:45
  • -
  • +
  • 인쇄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국내 68만 8884대, 해외 325만 5695대 등 총 394만 4579대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국내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5.2% 줄었지만, 해외에서는 2.9% 늘어 총 1.4%가 증가했다. 

 

▲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차는 "코로나19 재확산세와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인플레이션 확대 및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국내 판매가 다소 감소했지만, 미국과 유럽 및 신흥시장의 글로벌 자동차 시장 수요 전반이 회복되고 주력 차종과 신차 중심으로 호조가 이어지며 해외 판매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국내 판매에서 세단은 그랜저가 6만 7030대, 아이오닉 61만 1289대, 쏘나타 4만 8308대, 아반떼 5만 8,743대 등 총 18만 5553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 4만 9737대, 싼타페 2만 8705대, 아이오닉 52만 7399대, 투싼 3만 2890대, 캐스퍼 4만 8002대 등 총 21만 3710대가 판매됐다.

특히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는 전기차 모델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전기차 판매는 2021년 4만 2448대보다 65.8% 성장한 7만 372대로 집계됐다.

상용차는 9만 2411대의 판매고를 올린 포터와 3만 3459대가 팔린 스타리아 등을 합해 소형이 12만 5870대 판매됐고,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합한 대형은 2만 8706대가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G90 2만 3229대, G80 4만 7154대, GV80 2만 3439대, GV70 2만 9497대, GV60 5639대 등 총 13만 5045대가 팔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해외 시장 실적에 대해 "차량 공급이 제약되는 여건 속에서 판매 믹스, 인센티브를 개선하고 재고를 최소화하는 등 사업 체질을 개선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코나,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과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 모델 등 경쟁력 있는 신차를 출시한다"며 "아세안을 미래 핵심 시장으로 적극 육성하고 권역별 시장 상황에 적합한 상품 개발과 현지 생산 체계 강화를 통해 고객 신뢰를 얻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올해 시장 변화 탄력 대응, 전동화 전환 가속, 권역별 생산·물류·판매 최적화,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등을 통해 점유율 선점과 수익성 중심 사업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지난해 12월 판매 실적은 국내 7만 387대, 해외 27만 6953대 등 총 34만 7340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올해 국내 78만 1000대, 해외 354만 대 등 총 432만 1000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참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이 연말 여행 수요에 맞춰 국내여행 혜택을 강화해 지역 관광 회복에 나선다 NOL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겨울편에 참여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연중 진행된 민관협력 캠페인으로 올해 마지막 시즌을 맞이했다. NOL은

2

신세계백화점, CJ ENM 협업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백화점이 연말을 맞아 CJ ENM과 팝업을 선보인다. 오는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 오픈스테이지에서는 신세계 자체 캐릭터 푸빌라와 함께 뮤지컬 물랑루즈!의 ‘사틴’, 킹키부츠의 ‘롤라’, 비틀쥬스의 ‘비틀쥬스’가 산타가 되어 특별한 선물을 소개하는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스토어가 펼쳐진다. 이번 팝업에서는

3

한촌설렁탕,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 열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촌설렁탕이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에 첫 참여해 11월 11일(화)까지 국탕류 시그니처 간편식 라인업을 최대 6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고물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가격 부담은 줄이되, 맛과 영양, 품질을 모두 챙기는 '합리적 프리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