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미취업 맘 60%, 육아로 취업 불가…원인과 해법은?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3-25 11:08:28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미취업 기혼여성의 과반수가 육아로 인해 현재 일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혼인·출산율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보육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5일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취업하지 않은 15∼49세의 기혼여성(4648명)의 74.6%가 향후 취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길 원하는 비취업 기혼여성은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돈이 많이 들어서'(33.2%), '본인의 자아실현을 위해서'(24.0%), '남편의 수입만으로 생활비를 모두 충당할 수 없어서'(23.4%), '노후대책을 마련하려고'(7.0%) 등을 주된 취업희망 이유로 꼽았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미취업 기혼여성이 현재 일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육아 때문에'가 60.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당한 일자리가 없어서'(11.1%), '가사 때문에'(5.4%), '일하고 싶지 않아서'(5.0%) 등의 순이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출산 기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시했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이 평생 1명 이하의 아이를 낳는다는 의미다. 출생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70년 이래 최저치로, 1명 미만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중 한국이 유일하다.


통상적으로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1명이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수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앞으로 인구감소 속도가 굉장히 빨라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보육·육아시설의 부족이 출산을 꺼리게 된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공공보육시설 확충 등의 육아 부담을 덜어줄 제도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2006년부터 정부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해 출산장려 정책을 펼쳤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출산장려금과 양육수당 등의 '비용위주' 지원 정책은 효과가 미미하다. 정부당국의 적극적인 정책 개선이 시급해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3Q 매출 1601억 기록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올 3분기에 매출 1601억원, 영업손실 194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RPG,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을 토대로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한 5129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 9월 말 신작 출시를 앞두고 진행된 사전 마케팅 비용 등의 영향으로 3분기 영업이익은 감

2

에이에스이티-포엠일렉트로옵틱, 이차전지용 부품 베트남 수출 '업무협약'
[메가경제=정호 기자]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고체전해질막 전문기업 에이에스이티가 본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다. 에이에스이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포엠일렉트로옵틱 비나(4M Electro Optics Vina)와 전고체전해질막 제품의 현지 진출 및 전동화 산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은 양사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

3

NH농협은행, '올원×페이스페이' 경품 이벤트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오는 30일까지 NH올원뱅크에서 '올원뱅크+토스 페이스페이=?'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올원×페이스페이'는 얼굴과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하면, 실물카드나 휴대폰 없이도 얼굴 인식만으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간편 결제 서비스다. 이번 이벤트는 신규로 가입하고 결제 수단을 NH농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