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매운동으로 번진 日 수출규제...'반사이익' 모나미, 주식시장서 '방긋'

장찬걸 / 기사승인 : 2019-07-05 11:35:44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국내에서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여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산 필기구 업체 '모나미'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주가도 급등세를 보였다. 반면 여행·항공주가 동반 약세를 보였다.


4일 주식시장에서 하나투어는 전 거래일보다 3.44% 하락한 4만76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52주 최저가를 기록한 모두투어(-0.52%)와 노랑풍선(0.77%)도 하락 마감했다.



중소상인과 자영업자들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제품 판매중지 돌입 및 불매운동을 선언하며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중소상인과 자영업자들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제품 판매중지 돌입 및 불매운동을 선언하며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또한 일본 노선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저비용항공사(LCC) 중 진에어(-3.16%)와 제주항공(-3.55%), 티웨이항공(-2.44%) 등도 동반 하락했다. 반일 감정이 고조되고 일본 여행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시장에 우려가 주식시장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제 문구류 대신 국내 업체 제품에 수요가 쏠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주식시장에서 모나미는 전날보다 29.88%(765원) 오른 3325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일본산 필기구는 자동차·전자·카메라·의류 등과 함께 주요 불매운동 품목 중 하나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온라인커뮤니티에는 일본 기업 제품 불매 리스트가 퍼지고 있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일본의 대 한국 수출 규제 이후 반일감정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일본 기업 제품 불매 운동'과 관련된 게시물이 많은 공감을 얻기도 했다.


불매운동 리스트에는 토요타·렉서스·혼다 등 자동차 브랜드, 소니·파나소닉·캐논 등 전자제품 브랜드, 데상트·유니클로·ABC마트 등 의류 브랜드, 아사히·기린·삿포로 등 맥주 브랜드 등 다양한 일본 브랜드가 포함됐다.


한국을 우대국 조치인 '화이트(백색) 국가'에서의 제외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일본의 대 한국 수출 규제는 향후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일본 기업 제품 불매운동의 범위도 확산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에 따른 국내 수혜주들도 늘어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백화점, ‘멘즈 위크(Men’s Week)’ 행사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백화점이 전점에서 오는 12일(일)까지 단 6일간 '멘즈 위크' 행사를 개최하며 남성 패션 축제를 연다. 우선, 총 60여개 남성패션 브랜드가 참여해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표 참여 브랜드로는 ‘갤럭시’, ‘닥스’, ‘시리즈’, ‘송지오’, ‘바버’ 등이 있다. ‘시리즈’, ‘에피그램’, ‘커스텀멜로우

2

남양유업, ‘지역사회와 건강한 동행’...소외계층에 우유·발효유 지원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한부모 가정과 독거노인 등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우유와 발효유를 후원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매월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건강한 동행'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후원에는 남양유업 천안공장을 비롯한 전국 15개 사업장이 참여했다. 총 1만5000여 개 제품이 한국

3

BBQ, 세계 최대 식음료 박람회 아누가 참가…유럽에 K-치킨 알렸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제너시스BBQ 그룹이 세계 최대 식음료 박람회인 ‘아누가(Anuga) 2025’에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참가해 ‘K-치킨’을 알렸다고 8일 밝혔다. ‘아누가(Anuga)’는 독일 쾰른(Cologne)에서 2년마다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식음료 박람회다. 전세계 118여 개국에서 16만 명 이상이 찾는 글로벌 행사로, '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