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사과2' 전현무, 남친 '연락두절' 고민 사연에 "피곤하니까" 쉴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7 09:47:3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사과’ 시즌2의 5MC가 연인의 ‘연락두절’과 ‘술자리 매너’를 두고 열띤 토론의 장을 펼친다.

 

▲'독사과2'. [사진=SBS Plus, Kstar]

 

8일(토) 밤 8시 방송하는 SBS Plus, Kstar 공동 제작 예능 ‘리얼 연애실험실 독사과’(이하 ‘독사과’) 시즌2에서는 ‘스튜디오 5MC’ 전현무-양세찬-이은지-윤태진-허영지가 “남자친구가 고향만 내려가면 연락두절이 된다”는 의뢰인의 고민을 들어주다가 ‘갑론을박’을 벌이는 현장이 공개된다.

 

이날 의뢰인은 “대학교 CC로 남자친구와 교제한 지 600일 가까이 됐다”며 “남자친구가 고향에 갈 때마다 잦은 술자리를 갖는 것은 물론, 저녁부터 다음 날 아침까지 연락이 두절돼 걱정된다”고 털어놓는다. 

 

이를 들은 전현무와 양세찬은 “놀다 보면 그럴 수 있다”, “너무 피곤하니까 연락을 못 한 거다”라며 의뢰인의 남자친구를 감싼다. 반면 허영지는 “뭐가 그렇게 피곤한데?”라며 발끈하고, 이은지도 “우리는 ‘너(여자친구)도 신경 쓰고 있어’를 원하는 거다”고 강조한다. 

 

이에 양세찬은 “너희가 언제 우리를 신경 썼냐?”며 격분해 모두를 폭소케 한다. 전현무 역시 “자기들은 뭐 폰이 가방에 있었다는 둥, 무음이었다는 둥, 배터리가 없다는 둥”이라며 ‘연락두절 핑계’ 3종 세트를 읊는다. 그러자 이은지는 “‘이혼숙려캠프’라도 나갈까?”라고 받아쳐 스튜디오를 초토화시킨다.

 

‘술자리 매너’로도 열띤 토론이 벌어진다. 주인공이 애플녀에게 다정히 음식을 덜어주자 허영지가 “저건 ‘깻잎 논쟁’ 같은 거다. 왜 퍼 주냐?”며 흥분하고, 전현무는 “주인공이 중앙 자리에 앉았는데, 그럼 팔짱 끼고 있냐? ‘억까’ 하지 말자!”라고 모두를 진정시킨다. 

 

이처럼 남녀 MC들의 ‘극과 극’ 반응이 쏟아진 가운데, 의뢰인은 “(남자친구가) 원래 잘 챙겨주는 성격이다. 저건 매너 같다”라며 긍정 회로를 돌린다. 그러나 잠시 후, 주인공과 애플녀의 아찔한 현장을 목격한 의뢰인은 “미쳤네!”라며 극대노한다. 

 

과연 주인공이 애플녀의 맹독사과 공격에 넘어갔을지, 의뢰인이 뒤늦게 급발진한 이유가 무엇인지는 8일(토) 밤 8시 방송하는 SBS Plus, Kstar 공동 제작 예능 ‘리얼 연애실험실 독사과’ 시즌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업계 최초 AI 주문 기능 도입”... 꽃파는총각, 홈페이지 리뉴얼 및 오픈 이벤트 진행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꽃배달 전문 브랜드 꽃파는총각(플라시스템)이 국내 꽃배달 업계 최초로 AI 주문 기술을 도입하고, 공식 홈페이지를 전면 리뉴얼 오픈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AI 주문 기술은 고객이 청첩장이나 부고장의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URL을 전송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내용을 분석·인식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2

코레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국제 친환경인증(LEED)’ 업무협약 체결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미국 그린빌딩협회(이하 USGBC)’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지역단위 친환경인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USGBC는 186개국에서 활용되는 친환경 평가인증 체계인 ‘LEED’를 주관하는 글로벌 인증 기관이다. LEED는 건물이나 도시·지역단위로 부여

3

국가철도공단, 탄소중립 실현 위한 ‘SBTi 인증 본격 추진’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탄소배출 관리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 인증을 본격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기업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