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4' 김준호 "공항 입국심사서 김상중 선배 만나" 친분 과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4 14:46:52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즈’가 ‘홍콩섬’의 대표 힙플레이스인 ‘센트럴 마켓’을 접수한다. 

 

25일(토)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채널S, 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 22회에서는 ‘홍콩 섬 투어’를 떠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현지 대표 힙플레이스인 ‘센트럴 마켓’을 즐기는 하루가 그려진다. 

 

▲'독박투어4'. [사진=채널S, SK브로드밴드]

 

이날 ‘독박즈’는 현지인은 물론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센트럴 마켓’으로 향한다. ‘5인용 택시’를 타고 이동하던 중, 홍인규는 “우리 시즌2 할 때 첫 여행지가 홍콩이었다”며 “그때 주윤발 흉내 내면서 5인용 택시 탔잖아~”라고 추억을 소환한다. 이후 ‘독박즈’는 ‘센트럴 마켓’에 도착해 맛집 탐방을 시작한다. 그런데 김준호는 “여기가 예전에 너희가 나 X 먹인 곳 아니야?”라며 급발진해 짠내 웃음을 자아낸다. 

 

티격태격 케미 속 이들은 ‘인터넷 검색’ 없이 발길 닿는 대로 현지 맛집을 발굴하기로 한다. 그러다 우연히 한 식당에 자리를 잡는다. 사골 완탕과 치킨 커리 등을 푸짐하게 주문한 이들은 음식들이 나오자 폭풍 먹방에 돌입한다. 장동민은 국물을 한 입 뜨더니 “홍콩 느낌이 난다”고 평한다. 과연 이들이 찾아낸 로컬 맛집이 어디일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식사 후 ‘독박즈’는 근처 항구에서 ‘교통비 독박자’를 정하기로 한다. 이때 김대희는 “여기가 우리 시그니처 게임인 ‘독파트 게임’을 처음 했던 곳!”이라고 언급한다. 홍인규 역시 “로제 노래 ‘아파트’보다 우리 ‘독파트’가 먼저였잖아”라면서 ‘독박즈’이 시그니처 게임인 ‘독파트’에 자부심을 표한다. 김준호는 “맞다”면서 “우리가 로제에게 영감을 준 것!”이라고 강조해 웃음을 더한다. 

 

이번에도 ‘독파트’ 게임을 한 이들은 ‘교통비 독박자’를 정한 뒤 곧장 홍콩의 상징인 ‘2층 버스’를 탄다. 2층에 자리를 잡은 김준호는 “아까 공항에서 입국 심사 할 때, 배우 김상중 선배님을 만났다”고 말한다. 그러자 김대희는 “안 그래도 나한테 ‘부재중 전화’가 왔었다”며 곧장 김상중에게 전화를 건다. 김상중은 반갑게 전화를 받은 뒤, “상하이로 가족 여행을 왔다”고 하는데, 김대희는 느닷없이 “상하이에서는…”이라며 ‘아재 개그’를 투척해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김대희가 시도한 ‘아재 개그’가 무엇인지, 그리고 김상중이 이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25일(토)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 22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IBK기업은행, IBK창공 룩셈부르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유럽 진출을 희망하는 혁신·벤처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IBK창공 유럽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in 룩셈부르크’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6월 주한 룩셈부르크 대사관과 체결한 ‘혁신창업기업의 유럽진출 지원’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기회 제공과 현지

2

하나은행, '글로벌자산관리센터' 오픈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지난 23일 서울 삼성동 Place1에 글로벌자산관리센터(Global Wealth Management Center)를 오픈했다고 24일 밝혔다.국내 최초로 오픈한 글로벌자산관리센터는 자산의 글로벌 재배치가 본격화되는 흐름에 맞춰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글로벌자산관리

3

KB국민은행, '어르신 건강기원 치매예방 프로그램' 운영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국민은행은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어르신 건강기원 치매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신체적·정서적으로 위축되기 쉬운 어르신들의 인지능력과 활력을 높이고 건강한 노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KB국민은행이 지역 복지관과 협력해 약 200여 명의 어르신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프로그램은 전문 강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