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늦어지는 은퇴, 생애주기수지 적자 대비해야"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3-08 10:24:38
  • -
  • +
  • 인쇄
투자와연금리포트 54호 발간
50세 이전 주된 일자리 퇴직, 6~70대까지 경제활동 참여
"청장년기 소득 일부 꾸준히 적립, 개인적으로 연금자산 마련해야"

50세 이전에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6~70대까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 늦어지는 은퇴에 대비해 생애주기수지 적자에 대비하는 데 참고할 만한 리포트가 나왔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투자와연금리포트 54호 '늦어지는 은퇴, 생애주기수지 적자에 대비하라'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 주요국 실질·공식 은퇴 연령 (2018년 남성), 공식 은퇴 연령은 국민연금 수급개시 연령이며, 한국 연금 제도 개정에 따라 OECD 공식 은퇴 연령 자료를 61세에서 62세로 수정. OECD 국가 중 실질 은퇴 연령이 높은 10개국 [자료=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제공]

 

투자와연금센터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로 인해 변화 중인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퇴직·은퇴 동향을 분석했다. 최근 10년간 퇴직·은퇴 동향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정년을 크게 밑도는 50세 이전에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6~70대까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뚜렷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된 일자리 퇴직 시 평균 근속기간은 10년 전보다 1년 짧아졌다. 퇴직사유 중 정년퇴직 비중은 10% 선 아래로 떨어진 반면 비자발적 조기퇴직 비중은 40%를 넘어섰다.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퇴직 시점은 빨라지고 있고, 이로 인한 근로소득 공백 및 생애주기 적자를 메우기 위해 경제 활동을 연장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이른 퇴직과 경제 활동의 연장으로 다른 나라와 달리 3단계의 점진적 은퇴 과정을 겪고 있다. 그 과정은 △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  생애주기수지 적자전환,  실질 은퇴의 3단계로 이뤄져 있다. 퇴직·은퇴와 관련한 각 단계에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55~64세 연령층의 주된 일자리 퇴직 연령은 평균 49.3세, 평균 근속기간은 12.8년이다(2021년). 정년퇴직 비중 하향세와 함께 비자발적 사유에 따른 조기퇴직은 늘어나는 추세로, 생각보다 이른 퇴직에 대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 지출액이 근로소득을 넘어서는 나이인 생애주기수지 적자전환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19년 60세로 상승했다. 이는 주된 일자리 퇴직 후 대체 일자리에서의 경제활동 지속으로 실질 은퇴가 미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실질 은퇴 연령은 평균 72.3세(2018년)이며,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공식 은퇴 연령(62세)와의 차이는 10.3년으로 각각 OECD 국가 중 가장 길다. 실질 은퇴가 점차 늦어지는 추세로, 경제적 노후준비 부족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박지혜 연구원은“노후의 생애주기 적자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청장년기 소득의 일부를 꾸준히 적립해 개인적으로 연금자산을 마련하는 한편, 이·퇴직시 발생한 퇴직급여는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서 가급적 장기간 운용, 축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투자와연금리포트 54호 발간 내용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유튜브 투자와연금tv 채널 및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코레일, 운행 중인 KTX ‘AI로 실시간 차량 모니터링’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인공지능(AI)으로 운행 중인 KTX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안전을 더욱 강화한다.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KTX에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태기반 유지보수(CBM, Condition Based Maintenance)’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CBM은 열차가 운행하며 차량 주요 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

2

LG유플러스, 장애인 인식 개선 위한 '런치콘서트' 개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유플러스는 임직원들의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해 발달장애인 예술인과 함께하는 ‘런치콘서트’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런치콘서트’는 LG유플러스의 사내 문화행사로, 점심시간에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을 결합한 프로그램이다. 이번 행사는 장애인복지 전문단체인 밀알복지재단과 파라다이스복지재단의 협력으로 진행됐다. 서울 용산 LG유플러스

3

2000명 몰린 ‘2025 대한민국 국제 플로리스트 전시회’,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독일 바이에른주 푸르트 임발트에서 개막한 '2025 대한민국 국제 플로리스트 전시회'가 성대한 막을 올렸다. 개막 첫날 2000여 명의 관람객이 몰리며, 인구 2만 명 남짓의 작은 도시에서 수천 명이 몰려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이는 현지 박람회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로 기록되며, 한국 플로리스트의 국제적 위상을 입증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