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업계 '불황 터널' 끝이 보인다... 롯데 7분기 만에 흑자 전환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9 10:24:07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내 면세점 업계가 ‘불황의 긴 터널’에서 빠져나오고 있다. 주요 면세점들의 1분기 실적 자료에 따르면 업계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어서다. 특히 롯데면세점은 수익성 중심의 경영 전략 전환에 힘입어 7분기 만에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롯데면세점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6,369억 원, 영업이익 153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28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뚜렷한 실적 개선이다. 

 

▲ 롯데면세점 싱가포르 창이공항 매장. 

이 같은 실적 회복은 수익성 중심의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롯데면세점은 수수료 부담이 큰 중국 보따리상(다이궁)과의 거래를 과감히 줄이고, 외국인 단체관광객 및 개별 자유여행객 대상 마케팅을 강화했다. 여기에 희망퇴직 실시, 임원 급여 삭감 등 비용 효율화 조치도 병행하면서 수익성 개선에 탄력을 더했다.

국내 면세점 업계 전체 실적도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냈다. 신세계면세점은 1분기 매출 5,618억 원, 영업손실 23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폭을 대폭 축소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한 수치다.

현대백화점면세점 역시 매출 2,935억 원, 영업손실 1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1% 증가와 손실 축소를 기록했다. 신라면세점은 1분기 영업손실 5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적자폭을 줄였다.

면세점 업계는 고환율·고물가 등 대외 악재와 코로나19 이후 더딘 면세 관광 회복 속도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중심의 전략 전환과 마케팅 다변화 등을 통해 체질 개선을 꾀하고 있다. 다만, 입국자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면세 고객 수의 회복이 더딘 만큼, 실적 완전 회복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구조조정과 마케팅 전략 전환 등으로 단기적 실적 개선은 가능하지만, 중국 보따리상 중심이던 면세 유통 구조가 완전히 전환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면세업계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함께, 수익성 중심의 경영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체질 개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화손해보험, 연세대 국제캠퍼스에 생태벚꽃길 조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화손해보험은 기후위기 속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연세대학교와 생태벚꽃길 조성 활동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한화손보는 전일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한화손해보험과 연세대학교가 함께하는 생태벚꽃길 조성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는 기후위기 시대에 생물다양성 보전 가치를 실천하기 위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2

바이낸스, 가상자산 범죄 피해 예방 위한 '안전 가이드라인' 공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대표 리처드 텅)가 가상자산 관련 사기 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이용자 안전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번에 공개된 범죄 유형은 ‘계정 판매 사기’, ‘SMS 스푸핑’, ‘애플 ID 피싱’ 등 세 가지로, 접근 수법과 피해 과정,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대응 수칙 등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3

하나증권, '대대손손 가족 손님 이벤트' 당첨자 선정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하나증권은 손님 중심 가치 문화의 일환으로 진행한 대대손손 가족 손님 이벤트의 당첨자를 선정하고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고 22일 밝혔다. 하나증권은 올해를 '손님 중심 가치 문화' 정착의 원년으로 삼고 손님의 목소리와 경험을 기업 전략의 출발점으로 삼는 '손님 중심 경영'을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