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김형규 기자] 한국타이어가 환절기를 맞아 타이어 관리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안전한 운행 환경 조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타이어 안전 관리법’을 제안한다.
봄철에는 전제적인 기온이 상승하는 등 운행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차량 타이어 점검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특히 한동안 미뤄두었던 마모 정도, 공기압 체크, 찢어짐 현상 등 타이어 상태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해야한다.
![]() |
▲ 사진=한국타이어 제공 |
많은 운전자들이 봄비가 잦은 노면에서 타이어 마모도에 따른 위험성을 알고 있지만 실제 위험 상황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세심하게 살펴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동일한 타이어 마모 상태로 제동력 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 젖은 노면에서의 미끄러지는 거리는 일반 도로보다 1.5배 이상 길어진다.
빗길에서의 미끄러짐 현상은 타이어의 배수능력과 관련이 깊다. 노면과 닿는 타이어 표면인 트레드(Tread)는 고무층 사이 홈을 통해 도로위 고인 물이 배수된다. 지나치게 마모된 타이어는 홈의 깊이가 얕아져 있어 배수 능력이 떨어진다. 심한 경우에는 타이어와 도로 표면 사이에 수막현상 까지 발생시킨다. 수막현상은 고속에서 더욱 심해진다.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된 차량의 젖은 노면 위 고속주행은 마치 물 위를 주행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위험한 행위다.
한국타이어에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km 이상 달리다가 급제동 시, 홈의 깊이가 1.6mm로 심하게 마모된 타이어를 장착했을 경우엔 새 타이어일 때와 비교해 약 2배 가까이 제동력이 떨어졌다. 더욱이 시속 80km속도의 코너링 실험에서 마모 정도가 거의 없는 타이어는 2~3m가량 미끄러졌지만, 마모 정도가 심한 타이어일 경우 아예 도로 밖으로 이탈해 위험성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 |
▲ 한국타이어 제공 |
타이어 홈 깊이에 따른 타이어 교체 주기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마모 한계선인 1.6mm에 도달했을 때 타이어 교체를 고려하지만 한국타이어는 안전운전을 위해 홈 깊이가 3mm 정도인 상태에서 여유를 두고 타이어 교체하기를 제안한다.
타이어 마모도 체크 후엔 공기압을 점검해야 한다. 적정 공기압 유지는 마모도 만큼이나 타이어 관리를 위해 중요한 요소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면 회전저항이 커지고, 타이어 각 부분의 움직임이 커져 열이 과다하게 발생된다. 이 상태로 고속주행 시 타이어 표면에 물결이 치는 듯한 현상인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는데, 최악의 경우 타이어가 펑크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반대로 공기압이 과할 경우에는 완충능력이 떨어져 승차감이 나빠지고 차체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 타이어의 모든 부위가 팽팽하게 부풀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으로 타이어가 쉽게 손상되며 중앙 부분에 조기 마모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 |
▲ 한국타이어 제공 |
그래서 적정 상태의 공기압을 유지해 타이어의 트레드 전체가 지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해야 한다.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모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연비도 절감할 수 있다.
겨울용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을 주행하고 있다면 사계절용 타이어로 교체하기를 권한다. 겨울철 주행에 최적화되어 있는 타이어는 일반 노면 주행 시 소음이 발생하며 타이어 마모도도 빨라진다. 영상의 날씨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봄철에는 사계절용 타이어로 교체하기를 권한다.
[타이어 안전 관리 6원칙]
1. 매월 1회 전반적으로 타이어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2. 마모한계 1.6mm 이하인 타이어는 사용해서는 안되며 3mm 정도 상태에서 여유를 두고 타이어 교체를 고려한다.
3. 타이어는 기준에 맞는 적정 공기압이 상시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4. 장거리 고속주행의 경우에는 오랜 주행으로 인해 축적된 타이어 내부 열을 식히기 위해 2시간 마다 한 번씩 휴식을 취한다.
5. 상처 난 타이어는 운행 중 파열될 수 있으므로, 가까운 판매점에서 점검한다.
6. 스페어 타이어는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기압, 상처유무, 남은 홈 깊이 등을 필수적으로 점검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