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중대재해법 전면 확대 시행...대형건설사 대책 분주

장준형 / 기사승인 : 2023-11-24 09:55:45
  • -
  • +
  • 인쇄
건설업계, 현장안전기술 고도화 바람
스마트안전기술로 사각지대 최소화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대형건설사들이 내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전면 시행을 앞두고 안전관리와 시스템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된 중대대해처벌법이 내년 1월부터는 개인사업자 또는 상시근로자 50명 미만인 사업 또는 사업장, 50억원 미만 공사(건설업)에 대해서도 확대돼 운영된다. 

 

각 종 최첨단 스마트 장비를 전면 배치하고 부족한 부분은 직접 개발·운용하면서 중대 재해와 하자 발생 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근로자가 스마트안전벨트를 구조물에 체결하고 있다. [사진=포스코이앤씨]

 

 

업계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 안전 관리가 단순 사고 예방 차원을 넘어 건설사의 품질과 신뢰,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무겁게 작용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에도 안전·품질 관련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기에 산업안전 관리가 회사의 경쟁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각 건설사의 안전관리를 살펴보면 우선 DL이앤씨의 경우 지난 9월부터 2개월 간 안전보건관리 조직과 관련 시스템 전반을 외부기관으로부터 점검 받았다. 객관적인 점검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적극 개선하여 중대재해 예방에 전사적인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DL이앤씨는 현장 근로자 출입통제 시스템을 강화해 당일 작업에 반영되지 않은 인원에 대해서는 현장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최첨단 스마트 장비를 도입해 사람이 감시하기 힘든 부분까지 24시간 관리한다. 

 

또한 각종 건설 장비에도 접근 센서 및 AI 카메라를 부착해 작업 반경 내 근로자 진입 시에 신호수와 장비 운전기사에게 비상 알림을 울려 사고에 대해 대비하고 CCTV를 확대 설치 할 예정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사고 위험요인을 제거해 설계에 반영한 설계안전성검토(DFS)를 전면 도입해 시공 전 설계 때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AI 카메라와 타워크레인 과부하 방지 모니터링 장치를 도입해 현장 장비 안전관리를 강화했다. 

 

이동식 장비에 장착하는 AI 카메라는 장비와 작업자가 가까워지면 경고음을 울려 협착 사고 등을 예방한다. 실시간 신고 가능한 모바일 시스템(S-TBM)도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사물인터넷(IoT), 로봇공학, 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한 안전 스마트기술을 모든 현장에 확대 적용했다. AI·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지게차 자동정지기술을 개발해 사람과 사물을 구분 할 수게 해 충돌을 방지한다. 스마트 안전벨트는 생명줄이나 구조물에 체결 여부를 판단해 미체결시 작용자와 안전관리자에 통보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에어백도 센서를 활용해 추락이 감지되면 0.2초만에 팽창시켜 추락 충격을 50%이상 완화한다. 이동이 힘든 현장 근로자에게 안전 교육과 보건 활동을 지원하는 '찾아가는 안전 버스'도 운영 중에 있다.

계룡건설은 '스마트 안전경보장치' 특허를 등록했다. 지난해 11월 공동 개발로 특허 출원한 '스마트 안전경보장치'는 위험원과 근로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시 근로자에게 경보음과 음성 메시지를 보내주는 장치다.

현대건설은 IoT 센서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AI 재해예측시스템 등 현대건설의 독자적인 기술 노하우가 집약된 시스템을 통해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힘쓰고 있다. 

 

무인지상차량 등을 활용해 현장관리를 진행하고 이동식 CCTV, AI 영상인식 장비협착방지시스템 등을 설치해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각종 옵션을 개별 현장에 맞게 최적화하는 등 현장 안전사고 예방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들은 "보통 현장은 사각지대에서 사고가 많이 발행하고 있는데 스마트 기술을 통한 안전 관리가 자리 잡으면 사람이 일일히 점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컨트롤이 가능해 많은 근로자들에게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 가능할 것 같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