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칩스법 보조금 최종 확정... 6600억원 규모

신승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0 15:01:16
  • -
  • +
  • 인쇄
삭감 없이 지원 금액 116억원 증가
바이든 정부, 보조금 지원 서둘러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SK하이닉스가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지원법(칩스법)에 따라 최대 4억 5800만 달러(약 6634억 원)의 직접 보조금을 받게 됐다. 이는 지난 8월 발표된 사전 계약 각서 금액 4억 5000만 달러보다 800만 달러(약 116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한국전자전(KES2024)에 설치된 SK하이닉스 부스. [사진=메가경제]

미국 상무부는 1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SK하이닉스의 보조금 확정을 발표했다. 해당 자금은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건설 중인 AI용 메모리 패키징 공장과 첨단 패키징 제조 및 연구개발(R&D) 시설 지원에 사용된다. 앞서 SK하이닉스는 해당 시설 건설 등 대미 투자에 약 38억 7000만 달러를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지나 레이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SK하이닉스와 웨스트 라파예트 투자는 미국의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인디애나 지역에 수백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이번 지원으로 미국의 AI 하드웨어 공급망이 한층 견고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보조금 결정과 함께 5억 달러(약 7243억 원) 규모의 대출 제공도 결정됐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칩스법을 통해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반도체 제조업체의 미국 현지 투자를 유도해왔다. 그러나 해당 정책의 향후 지속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약속된 보조금 지급을 서두르는 중이다. 다음 달 취임하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반도체 보조금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 상무부는 앞서 TSMC, 인텔, 마이크론 등 미국 내 공장을 건설한 반도체 제조업체에 대한 보조금 규모를 확정했으며, 이번 성명을 통해 국내 기업 SK하이닉스도 보조금을 확보하게 됐다.

 

한편 삼성전자는 아직 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미국에 450억 달러를 투자해 64억 달러(약 9조 2000억 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예비 거래 각서를 체결한 상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