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작년 높은 수요에 김 산지 가격 2배 증가"

이동훈 / 기사승인 : 2025-01-14 15:39:20
  • -
  • +
  • 인쇄
2024년 전국 수협 산지 위판실적 결과 발표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높은 수요 대비 공급이 소폭 늘어난 영향으로 지난해 김류의 산지 가격은 전년대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양식장이 집중된 전남은 김 가격 상승에 힘입어 위판액이 3,742억 원 증가했다. 반면, 제주는 갈치 생산량이 줄어 위판액이 435억 원 감소했다.


수협중앙회(회장 노동진)는 2024년 전국 수협 산지 위판장 214곳의 경매실적을 잠정 집계한 이 같은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4년 김류의 위판량은 53만6천t으로 전년대비 4%(2만3천t) 증가했지만, 위판액은 6,153억 원에서 1조1,591억 원으로 88%(5,438억 원) 증가했다.

1kg당 단가로 환산하면, 2023년 1,199원에서 2024년 2,163원으로 2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수산물 수출 품목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김에 대한 연간 국내외 수요가 높아지고 있지만,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김 가격이 높아진 것이라고 수협중앙회는 분석했다.

김 양식 주요 생산지인 진도군수협은 이 같은 높은 김 가격 형성으로 지난해 위판액은 2023년보다 1,387억 원 늘어 3,024억 원을 달성했다.

이에 따라, 전국 91곳의 수협 중 연근해 수산물을 위판하고 있는 78곳 가운데 위판액 기준 1위로 올랐다. 또한, 이 수협은 작년 한 해 위판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으로도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1위였던 민물장어양식수협(2,966억 원)은 2위를 차지했고, 제주어류양식수협(2,824억 원), 고흥군수협(2,732억 원), 신안군수협(2,294억 원)이 그 뒤를 이었다. 갈치류는 지난 한 해 동안 위판량과 위판액 모두에서 감소 폭이 가장 높은 어종으로 나타났다.


멸치류(-365억 원), 오징어류(-314억 원), 삼치류(-260억 원) 순으로 위판액 감소가 컸다. 2023년 5만2천t이었던 갈치류는 지난해 3만5천t으로 33%(1만7천t) 줄었고, 위판액도 4,307억 원에서 3,158억 원으로 1,149억 원 감소했다.

갈치가 주로 잡히는 제주 관내 수협은 이 영향으로 전체 위판액이 7,407억 원에서 6,972억 원으로 435억 원 감소하며 위판액 최대 감소 지역으로 조사됐다.

김 양식장이 밀집된 전남이 김 위판액 증가에 힘입어 2023년보다 3,742억 원 상승한 2조1,635억 원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위판고를 달성한 지역으로 분류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위판액이 가장 높은 어종은 김류(1조1,591억 원)로 뱀장어(4,496억 원), 갈치류(3,158억 원), 게류(3,003억 원), 넙치류(2,895억 원)도 상위 어종에 포함됐다.

지난해 전국 수협의 위판량은 전년(110만6천t)대비 1만7천t 감소한 108만9천t으로 위판액은 4조6,767억 원에서 5조1,092억 원으로 4,325억 원 증가했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연근해 수산물 생산량이 소폭 감소한 영향으로 산지 가격도 다소 높아지고 있다”며 “수산물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자체 어가 지원은 물론, 국가적 지원도 지속 건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