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2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17%↑...슬의생2·유퀴즈 등 미디어 부문 성장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8-05 17:39:49
  • -
  • +
  • 인쇄
TV광고‧디지털매출 성장 지속…티빙 유료 가입자 43.6%↑

CJ ENM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9079억 원, 영업이익 858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회사 측은 프리미엄 콘텐츠 확대와 디지털 시프트를 바탕으로 한 성장 가속화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8.4%, 16.9%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디어 부문의 성장이 눈에 띈다.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31.8% 늘어난 577억 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도 12.3% 증가한 4564억 원을 기록했다.


 

▲ CJ ENM 로고 [CJ ENM 제공]

 

지난 2분기에는 첫 방송 기준 역대 tvN 시청률 1위를 기록한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과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록’ 등 화제성 높은 콘텐츠들에 힙입어 TV 광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1% 늘었다.


디지털 시프트 관련 매출도 전년 동기보다 54.6% 성장했다. 오리지널 콘텐츠들의 인기에 힙입어 티빙 유료 가입자도 지난 1분기보다 43.6% 증가했다.

하반기에는 tvN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 Mnet 예능 ‘스트릿 우먼 파이터’ 등으로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고, 채널 화제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티빙도 가입자 확대를 위해 ‘환승연애’, ‘분데스리가’ 중계 등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 3574억 원, 영업이익 299억 원, 취급고 9493억 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코로나19 회복 심리 여파로 오프라인 수요가 증가하고, 신규 BI 개편 등 모바일 중심의 사업전환 비용이 늘어나면서 이익이 줄었다.

그럼에도 기존 TV 충성 고객의 안정적인 모바일 전환과 다니엘 크레뮤, 장미쉘 바스키아 등 패션 중심의 자체 브랜드 취급고 증가, 디지털 취급고 비중 확대 등 성과를 거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음악 부문은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53.8% 증가한 654억 원의 매출과 21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콘서트 매출이 줄었지만, 엔하이픈, JO1 등 소속 아티스트가 2분기 약 100만 장의 앨범 판매량을 올려 성장을 이끌었다. OST·라이브러리 등을 통한 음반·음원 매출 또한 확대됐다.


영화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29.6% 늘어난 288억 원의 매출을 거뒀지만 4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외 영화‧뮤지컬 시장 침체가 이어졌지만 서복, 발신제한 등이 개봉하면서 극장 및 라이브러리 부가판권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02.7% 늘었다.

CJ ENM 관계자는 "독보적인 콘텐츠 제작 역량을 통해 디지털 기반 OTT, 광고, 커머스 등 신규 비즈니스의 성장세를 하반기에도 지속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2

AI 반도체 수요 폭발...8월 ICT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8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반도체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액은 228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수요 확대가 반도체 수출 증가를 이

3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 결론 못 내...대규모 투자 조건 줄다리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방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귀국했다. 김 장관은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한국의 대미 투자 구조와 이익 배분 방식 등 세부 쟁점을 논의했으나, 협의가 어느 정도 진전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날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한 김 장관은 협상 결과를 묻는 질문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