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은 창업주인 유일한 박사가 별세한 지 51주기를 맞았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1971년 향년 75세의 나이로 영면에 든 유 박사는 일찍부터 기업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축적한 부를 사회에 환원해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를 실천한 기업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 |
▲ 유한양행 창업주 고 유일한 박사 [사진=유한양행 제공] |
그는 9세에 미국 유학을 떠나 현지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31세가 되던 1926년에 귀국해 국민건강 향상과 교육을 통한 기술인재 양성을 목표로 유한양행을 설립했다.
이후 유 박사는 ‘기업은 사회의 것’이란 일념으로 1936년 유한양행을 주식회사체제로 전환했다. 1939년에는 국내 최초로 종업원지주제를 채택했고, 1962년 국내에서 두 번째로 주식공개를 단행했다.
1969년에는 일찌감치 경영권 상속을 포기하고 전문 경영인에게 사장직을 넘긴 뒤 53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평사원 출신의 전문경영인이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약 1900여 명의 유한양행 현 임직원 중 유 박사의 친인척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 박사는 ‘기업에서 얻은 이익은 그 기업을 키워 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기업 이윤을 나라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에 투자했다.
그가 별세한 이후 공개된 유언장에는 장남 유일선 씨에게 “대학까지 졸업시켰으니 앞으로는 자립해서 살아가라”는 내용이 담겼다. 또 유일선 씨의 딸이자 유 박사의 손녀인 유일링(당시 7세) 양에게는 학자금으로 1만 달러만 남겼다.
딸 유재라 씨에게는 학생들이 뛰놀 수 있도록 유한중·공업고등학교 일대의 땅 5000평 등을 상속했는데 ‘소유주식을 비롯한 모든 재산들은 사회사업과 교육사업에 쓰도록 한다’고 유언을 남겼다.
유 박사의 별세 이후 공개된 CIA의 비밀문서에는 그가 생전 해외에서 이어간 독립운동 행적이 나타나기도 했다.
유재라 씨는 지난 1991년 세상을 떠나면서 본인이 갖고 있던 주식 등 200억 원대의 재산 모두를 사회에 기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