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한국경제의 양극화는 1997년 외환위기 사태 이후 가속화됐다. 지난 20여년간 한국의 가구 소득 격차는 최고 속도로 확대돼 소득 불평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악화됐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에서 작년 4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주의 실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이 71.9%를 기록했다. 2017년 4분기보다 6.9% 포인트나 상승한 수치다.
아래 지표는 1인 이상 전 가구(농어·업 종사자 제외) 중 균등화 가처분소득이 하위 20%인 계층(1분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출처 = 통계청]](/news/data/20190310/p179565872075901_645.jpg)
균등화 가처분 소득은 가구원 한 명이 누리는 가처분 소득의 크기를 보여준다. 가처분 소득을 가구원 수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비교 기간 중 1분위 가구의 고용주 비율은 1.3%→0.9%로 0.4%포인트, 자영자 비율은 7.4%→7.3%로 0.1%포인트 떨어졌다. 자영자는 임금 근로자가 아닌 상태에서 노동소득을 벌어들이는 경제활동 주체를 뜻하며 자영업자 등을 포괄한다.
상용직 비율은 2017년 4분기 4.3%였는데 작년 4분기에는 1.7%로 2.6%p 떨어졌다.
자영자는 임금 근로자가 아닌 상태에서 노동소득을 벌어들이는 경제활동 주체를 의미하며 자영업자 등을 포괄한다. 임시직은 16.6%에서 12.6%으로 떨어졌고 일용직은 4.6%에서 5.3%로 높아졌다.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구주 가운데 65세 이상은 64.1%를 차지했다. 50∼64세가 21.3%, 35∼49세가 9.1%, 34세 이하는 5.5%였다. 1년 전과 비교할 때 젊은 층과 은퇴를 앞둔 연령대의 비율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1분위 가구주가 일을 하지 않거나, 취업 상태를 유지했더라도 기존보다 열악한 일자리로 이동하면서 소득 상황이 악화됐을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