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즉시배송’ 첫 구매 “10건 중 6건 신선식품”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8-19 09:00:28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홈플러스가 ‘즉시배송’ 첫 이용 고객들의 구매 건 중 절반 이상이 신선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첫 이용 고객들의 구매 품목을 분석한 결과, 축산, 채소, 과일과 같은 신선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60%에 달했다. 채소류가 전체의 1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축산(10%), 두부 등(10%), 우유·유제품(9%), 과일(8%) 순으로 많은 선택을 받았다.

 

▲ <사진=홈플러스>

 

첫 구매 고객 비율 상위 상품을 보면, ‘즉시배송’ 고객들의 신선식품 니즈가 더욱 두드러진다. 1월부터 7월까지 첫 구매 고객 상위 20개 품목 중 16개가 신선식품이었으며, 애호박, 바나나, 돼지삼겹살, 계란, 콩나물, 대파, 우유, 두부 등 이른바 ‘필수 먹거리’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상위 품목 중 첫 구매 고객 할인 상품인 ‘돌돌말이 냉동대패삼겹살’, ‘농심 신라면’ 등을 제외하면, 상위 20위 내 품목 전부를 신선식품이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홈플러스는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집 근처에서 간편하게 구매하려는 근거리 소비가 보편화되고 있는 가운데, 집에서도 인근 점포에 있는 상품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는 ‘즉시배송’의 강점이 신선식품 고객 유입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또한 점포에서 선별하여 바로 배송되는 간결한 유통 시스템 덕분에 ‘오프라인의 신선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실제로 ‘즉시배송’은 신선식품 구매 고객에게 특히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채소, 과일을 구매한 첫 고객들의 30일 내 재구매율은 약 60% 수준으로, ‘즉시배송’ 전체 첫 구매 고객(약 55%) 재구매율에 비해 5%p 가량 높게 나타난다.

 

최근 ‘즉시배송’ 신규 고객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 6월~7월 기준, 당월 가입 후 당월 첫 구매 고객은 4월~5월 대비 약 32% 급증했으며, 이전 가입 후 당월 첫 구매 고객은 약 22% 늘었다.

 

조혜영 홈플러스 온라인마케팅본부장(이사)은 “홈플러스 ‘즉시배송’은 근거리 배송이라는 강점을 통해 꾸준하게 성장해왔다”라며, “특히 신선식품의 경우, 인근 점포에서 빠르게 배송하는 특장점을 통해 신선함에 대한 믿음을 확보한 것이 신선식품 고객을 이끈 주요 배경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