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베트남 '롯데몰 하노이'에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 적용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3-17 09:52:49
  • -
  • +
  • 인쇄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롯데건설(대표 하석주)은 베트남에 시공 중인 '롯데몰 하노이'에 하노이 지역 최초로 기초 공사에 슬래그를 활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4만 6000㎥를 성공적으로 타설했다고 17일 밝혔다.

롯데몰 하노이는 베트남 하노이시 떠이호구 신도시에 들어서는 복합 쇼핑몰이다.

롯데몰 하노이에 적용한 친환경 콘크리트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결합재인 시멘트 사용량을 50%로 줄이고,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각각 20, 30% 늘려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은 물론, 건축물의 내구성(장기강도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 롯데몰 하노이 조감도 [롯데건설 제공]


베트남 하노이 지역에서는 통상적인 콘크리트 결합재로 시멘트 외에 플라이애시만 15% 정도 사용하는 레미콘 배합을 사용했었지만, 지난 2019년 하노이 지역에 철강공장이 생긴 후 슬래그 생산이 가능해졌다.

이에 롯데건설은 베트남 건설부 산하 건설기술연구기관 'IBST(Vietnam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 배합을 개발하기 위해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콘크리트가 굳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기존 배합 대비 10℃ 낮추고, 90일 이후의 콘크리트 장기강도 20% 향상과 수밀성 2등급(33%)을 향상시킨 콘크리트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제조과정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시멘트 사용을 줄이고, 시멘트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약 3% 수준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대체재로 사용해 결과적으로 온실가스 저감 효과도 볼 수 있다. 실제로 롯데몰 하노이에 이 기술을 적용해 약 4920톤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였다.
 

▲ 롯데몰 하노이 현장 기초공사 콘크리트 타설 전경 [롯데건설 제공]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이미 친환경 콘크리트가 적용되고 있었지만, 베트남에서는 아직까지 슬래그 생산이 많지 않아 소량의 플라이애시만 사용하고 있었다"며 "이번에 IBST와 함께 콘크리트 배합을 연구한 끝에 하노이 지역 현장에 최초로 적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베트남 건설관련법 제정의 권한을 가진 IBST는 “이번 베트남 하노이 지역에서 친환경 콘크리트의 성공적 현장 적용을 바탕으로 슬래그 확대 적용을 위한 제도 기준 마련과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기술 홍보를 통해 해당 기술 적용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2019년부터 기술협력 MOU를 맺고 공동연구를 추진해온 롯데건설 기술연구원과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현장 시공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2

서울 아파트, 30대 '패닉바잉' 확산…대출 규제 속 무주택층 매수세 급증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30대의 매수 비중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10·15 대책 발표 이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나 무주택자를 중심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매수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3

"부동산·가계대출 모두 경고등…'금융시스템 취약성' 심화 우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개선세가 더디고,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우리나라 금융 건전성에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발표한 ‘국내외 금융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부동산 PF 구조조정 속도가 늦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잠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