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지고 시작하는 청년층..."정책에 생애주기 금융수요 반영 절실"

노규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3 17:37:08
  • -
  • +
  • 인쇄
청년층 평균 소득 3092만원...카드값 월 147만원
정부, 청년도약계좌 등 청년정책에 28조원 투입
"정부, 정책금융·상업금융 간 파트너십 강화해야"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우리나라 청년의 절반이 대출을 경험했으며, 첫 대출 평균 연령은 23.7세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에서는 28조원 규모의 청년층 지원 정책 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일각에선 신용관리 및 자산형성 제도에 금융권과 관련부처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우리나라 청년의 절반이 대출을 경험했으며, 첫 대출 평균 연령은 23.7세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에서는 28조원 규모의 청년층 지원 정책 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일각에선 신용관리 및 자산형성 제도에 금융권과 관련부처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사진= 연합뉴스]

 

3일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의 ‘2024년 청년금융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청년층(19~34세) 평균 연 소득은 3092만원이다.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의 구간이 41.7%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특히 전체 청년의 44.8%(415만8000명)는 대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대출을 보유한 청년층의 평균 잔액은 3700만원으로 처음 대출을 받은 평균 연령은 23.7세다.

이런 상황에서 서금원은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를 줄이기 위해 올 7월 ‘부분인출 서비스’를 도입한다. 이재연 서금원 원장은 “청년들이 적금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긴급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추진할 28조원 규모 청년층 지원 정책 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2일 서울 중소기업 DMC 타워에서 ‘제15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2025년 청년 금융정책 시행계획을 논의했다.

청년 대상 전세대출은 정부 지원 저금리 상품인 ‘버팀목대출’로 통합해 지원 대상(전세보증금 2→3억원 이하)과 대출한도(1→2억원)를 확대한다.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80%까지 최대 40년간 최저 2% 금리로 빌려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올해부터 시행 중이다.


정책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정부가 월 최대 지원하는 금액은 2만4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올린다.

다만 일각에선 우리나라 청년정책이 일부 일자리 분야 외에는 대체로 실효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김동환 한국금융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청년금융정책의 이해’ 보고서를 통해 청년금융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금융회사간 연계 강화 및 정책금융회사·상업금융회사간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청년금융은 청년이 성인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생애주기별로 발생하는 다양한 수요에 맞춰 통합·연계 지원하는 것이 필수”라며 “정부나 정책금융회사에 의해 보완되거나 상업금융회사를 포함한 협조 아래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청년정책을 지원하는 상업금융회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청년에게 직접 일자리, 교육·훈련, 주거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에 신용보증을 강화해 소액신용대출을 활성화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웃도어 본질에 스타일을 더하다…네파 2025 F/W 시즌 룩북 공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네파가 12일 모델 이준호·안유진과 함께한 2025년 가을·겨울(F/W) 룩북을 공개했다. 네파는 ‘樂 on the Hills’를 테마로 거칠고 광활한 자연에서 본격적인 아웃도어 활동은 물론 도심 속 자연과 근교의 가벼운 트레킹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이번 시즌에는 기존 아웃도

2

참좋은여행,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참좋은여행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고용노동부가 2018년부터 매년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을 선도적으로 실천한 100개 기업을 선정해 격려하는 제도다. 참좋은여행은 이번 평가에서 고용 확대 노력 청년·여성 친화적 고용 환경 안정적

3

CJ프레시웨이, 미식 콘텐츠 플랫폼 ‘메티즌’과 협업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프레시웨이는 미식 콘텐츠 플랫폼 ‘메티즌’과 손잡고 상품 기획, 레시피 개발, 비즈니스 컨설팅 등 외식업자의 사업 성공을 돕는 비즈니스 솔루션 역량을 홍보한다고 12일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메티즌과 함께 셰프 콜라보레이션 활동을 추진한다. 자체 외식 식자재 브랜드 ‘프레시원’의 주요 상품을 활용한 셰프 레시피를 협업 개발하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