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1.1%↑, 1년 만에 최고…농축수산물 10년 만에 최대 상승

최낙형 / 기사승인 : 2021-03-04 10:29:21
  • -
  • +
  • 인쇄
파 227.5%↑·달걀 41.7%↑…집세 0.9%↑, 3년 만에 가장 많이 올라
근원물가 0.8%↑, 3달 연속 0%대 상승률…"인플레 우려 상황은 아냐"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1.1% 오르며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농산물 작황 부진,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와 명절 수요 증가까지 겹치며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치솟았다. 여기에 집세도 0.9% 오르며 국민들의 체감 물가 부담은 더 커졌다.

 

▲ [사진=연합뉴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00(2015년=100)으로 작년 동월 대비 1.1% 올랐다. 이는 지난해 2월 1.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9월 1.0%를 나타낸 후 10월(0.1%), 11월(0.6%), 12월(0.5%), 올해 1월(0.6%)까지 0%대에 머무르다 다시 1%대로 올라섰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작황 부진과 명절 수요가 겹쳐 치솟으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6.2% 상승해 2011년 2월(17.1%)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중 농산물은 1년 전보다 21.3% 뛰었다. 2011년 1월(24.0%)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특히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작황 부진에 파 물가가 227.5%나 뛰었고, 사과도 55.2% 올랐다. 고춧가루(35.0%), 쌀(12.9%) 등도 크게 올랐다.

축산물 역시 14.4% 올라 2011년 6월(16.1%) 이래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달걀의 경우 AI 피해로 공급은 줄었는데 명절 수요는 늘어나면서 41.7% 뛰었고, 돼지고기(18.0%), 국산쇠고기(11.2%) 등도 많이 올랐다. 수산물은 1.9% 상승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8.9%, 전월대비 7.4%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10월에 19.9% 상승하고 4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 [그래픽=통계청 제공]

집세도 올랐다. 집세는 한 해 전보다 0.9% 오르며 2018년 8월 1.2% 상승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전세는 1.2%, 월세는 0.55% 각각 뛰어올랐다.

서비스도 0.5% 올랐다. 개인서비스는 1.6%를 나타냈고, 이 가운데 외식 물가는 1.3%, 외식 외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1.7%를 보였다. 가공식품도 1.2% 올랐다.

반면 공업제품은 0.7% 내렸다. 석유류는 6.2% 내렸는데, 최근 국제유가 상승 추세에 따라 전월(-8.6%) 보다 하락세가 둔화했다. 전기·수도·가스도 5.0% 떨어졌다.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전기·수도·가스를 포함한 상품 가격은 1.9% 올랐다. 무상교육 등 정책 영향에 공공서비스는 2.1% 떨어졌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가정 내 수요 증가 때문에 식료품·비주류음료가 9.7%의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오락·문화(-0.7%), 통신(-1.2%), 교통(-2.0%), 교육(-2.9%) 등은 떨어졌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0.8% 올라 세달 연속 0%대 상승률을 보였다.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1.2% 올랐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0.3%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작년 여름 이후 장마가 길었고, 잦은 태풍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농축산물과 서비스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 물가 상승 폭이 커졌다"며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요인이 있어 상승세가 이어질 것 같다는 예측은 가능하나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낙형
최낙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영섭 KT 대표 "전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 보상 진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가 전체 가입자 대상 무단 소액결제 및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사고 보상을 위해 전체 가입자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 고객 대상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qu

2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3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