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알, SRT 관련 정보 조사…컵라면 서비스 등 오류 다수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5 11:22:53
  • -
  • +
  • 인쇄
인공지능 대화형 도구에서 SRT 관련 답변 오류 확인은 공식채널에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SRT 특실에서 컵라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도구들이 확산되는 가운데 고속열차 이용 관련 정보 상당수가 오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알은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도구들이 제공하는 SRT 관련 정보를 조사한 결과, 상당수의 답변이 부분적 오류이거나 완전히 사실과 다르다며 공식채널을 통한 정보 확인을 당부했다.

 

SRT 운영사 에스알은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도구들이 제공하는 SRT 관련 정보를 조사한 결과, 상당수의 답변이 부분적 오류이거나 완전히 사실과 다르다며 공식채널을 통한 정보 확인을 당부했다.

에스알은 최근 SRT와 관련한 AI응답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고객의 소리(VOC) 등을 통해 고객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 20건을 Chat GPT 등 국내외 AI도구에 물어봤다. 그 결과 17건에서 잘못된 답변이 나왔다고 밝혔다.

SRT 열차 내에서 컵라면을 먹기 위해 승무원에게 뜨거운 물을 요청 할 수 있다거나, 특실 이용객이 가장 먼저 열차에 탑승할 수 있다는 등 완전히 잘못된 답변을 내놓았다. 또한 승차권 취소 위약금을 사실과 다르게 내놓는 등 부분적인 오류도 잦았다.

 

잘못된 답변 가운데는 위약금 및 환불정보, 노선 운행정보, 열차 이용정보 등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내용도 상당수였다.

 

에스알은 AI 대화형 도구가 에스알 홈페이지 등 공식 채널뿐만 아니라 개인블로그나 카페와 같은 비공식적 자료도 답변의 기반으로 삼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AI가 존재하지 않는 사실을 만들어내는 이른바 ‘환각현상’(Hallucination)이 발생할 수 있어, 이용객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스알은 AI 대화형 도구의 부정확한 정보는 이용객들에게 혼란을 초래 할 뿐만 아니라, 실제 열차 이용 시 불편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며, SRT 이용과 관련된 정보는 반드시 공식 채널을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SRT 이용문의에 관한 공식채널은 △SRT 홈페이지 고객안내 - 자주 찾는 질문(FAQ) 페이지 △SRT 챗봇 △에스알 고객센터 전문 상담원을 통한 전화 안내를 통해 운영하고 있다.
 

에스알은 고객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정확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종국 에스알 대표이사는 “AI기반 대화형 도구 활용이 늘어나지만 아직까지 정확성과 완성도면에서는 오류가 적지 않다”며, “SRT 이용 시에는 공식 채널을 이용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길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