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콘트롤스, 아이서비스 흡수합병...공간 AIoT 플랫폼 'HDC랩스' 출범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6-04 16:25:28
  • -
  • +
  • 인쇄

HDC그룹(회장 정몽규)의 HDC아이콘트롤스가 HDC아이서비스와 흡수 합병을 통해 '공간 AIoT' 플랫폼 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4일 HDC그룹에 따르면, HDC아이콘트롤스와 HDC아이서비스는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을 결의했다. 합병 절차는 올해 연말 마무리될 계획이다. 

 

▲ HDC그룹 제공


이번 합병으로 출범하는 HDC랩스(가칭)의 비전은 공간 AIoT 플랫폼 기업이다. HDC아이콘트롤스의 AIoT 기술 역량과 HDC아이서비스의 부동산 운영관리 노하우를 융합하고, 인텔리전트한 고객 경험을 제공해 시장을 선도한다는 목표다.

HDC아이콘트롤스는 지난 1999년 설립된 HDC그룹의 IT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스마트홈, SOC(Social Overhead Capital, 민간투자사업) 솔루션, M&E (Mechanical & Electrical, 기계설비공사) 등 사업을 운영했다. 피합병 법인인 HDC아이서비스는 1992년 설립 이후 부동산 종합관리, 자산관리, 인테리어, 조경사업 등 다양한 종합 부동산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며, 현재 300곳 이상의 사업자를 관리하고 있다.

HDC랩스는 합병 추진과정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양사의 핵심 사업역량을 융합하고, 지속 성장이 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양사 고객 네트워크 통합으로 수주 경쟁력을 높이고, 중첩된 사업 영역에서 신규 상품과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차별화된 공간관리 솔루션을 제공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합병 후 매출 8000억 원 이상, 보유현금 2000억 원 규모로 재무적인 안정성도 높아질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HDC랩스는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M&A를 추진해 AI, Big Data, Cloud, Digital Twin 등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R&D 역량 강화로 기업가치를 더욱 높여 2025년 매출 2조 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한편, HDC그룹은 미래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변화의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HDC그룹 관계자는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을 진행하며 리츠를 활용한 부동산금융사업, 에너지 개발사업 등을 본격화하는 등 종합 금융부동산 그룹으로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새로운 사업 플랫폼을 창조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참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이 연말 여행 수요에 맞춰 국내여행 혜택을 강화해 지역 관광 회복에 나선다 NOL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겨울편에 참여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연중 진행된 민관협력 캠페인으로 올해 마지막 시즌을 맞이했다. NOL은

2

신세계백화점, CJ ENM 협업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백화점이 연말을 맞아 CJ ENM과 팝업을 선보인다. 오는 16일까지 신세계 강남점 오픈스테이지에서는 신세계 자체 캐릭터 푸빌라와 함께 뮤지컬 물랑루즈!의 ‘사틴’, 킹키부츠의 ‘롤라’, 비틀쥬스의 ‘비틀쥬스’가 산타가 되어 특별한 선물을 소개하는 <씨뮤 산타즈의 선물공장> 팝업 스토어가 펼쳐진다. 이번 팝업에서는

3

한촌설렁탕,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 열어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한촌설렁탕이 네이버 '넾다세일 기획전'에 첫 참여해 11월 11일(화)까지 국탕류 시그니처 간편식 라인업을 최대 6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고물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한 끼를 먹더라도 제대로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가격 부담은 줄이되, 맛과 영양, 품질을 모두 챙기는 '합리적 프리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