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발생 주간 일평균 확진자 992.4명 중 수도권서 799.0명 발생...감염재생산지수 1.20→1.24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7-12 16:26:10
  • -
  • +
  • 인쇄
수도권서 2주연속 80% 이상 발생...치명률은 감소 추세
'10만 명당 2.3명→3.6명' 2주 연속 20대 발생률 가장 높아
확진자 접촉 비중 43.5%(2124명)→47.4%(3496명)로 증가

최근 1주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발생 일평균 확진자가 직전 주에 비해 50% 넘게 증가했으며 지난주에 이어 80% 이상이 수도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재생산지수는 직전 1주간 1.20에서 1.24로 더 높아지며 확산세가 더욱 강해지고 있음을 나타냈고, 연령별로는 20대와 10대에서의 발생률이 특히 높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최근 1주간(7.4∼7.10) 코로나19 국내 발생 확진자가 일평균 992.4명으로 직전 1주간(6.27~7.3) 일 평균 655.0명 대비 51.5% 급증했다고 밝혔다.
 

▲ 최근 1달간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 [출처=중앙방역대책본부]

특히 최근 1주간 수도권 일평균 확진자는 799.0명으로 직전 1주간 일평균 531.3명 대비 50.4% 늘어났다. 전체 국내 발생 대비로는 80.5%를 차지해 직전 1주간 81.1%에 이어 2주 연속 80%를 넘었다.

해외유입 사례도 일평균 62명(총 434명)으로 직전 1주 일평균 42.9명 대비 44.5% 증가했다.

다행히 최근 1주간 사망자는 직전 주와 같은 13명으로 치명률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4월 10일 1.62%였던 치명률은 5월 10일 1.47%, 6월 10일 1.35%, 7월 10일 1.22%를 보였다.

주간 위중증 환자 규모는 직전 주 146명에서 147명으로 1명 늘었다.

▲ 최근 4주간 감염경로. [출처=중앙방역대책본부]

최근 4주간 감염 경로를 살펴보면, 가족·지인·직장 등 소규모 접촉감염이 늘어나면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직전 주간 43.5%(2124명)에서 최근 1주간 47.4%(3496명)로 오르는등 계속 증가세를 보였다. 

병원·요양시설 등에서의 발생도 전주 대비 증가(0명→34명)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된다.

확진자가 빠르게 늘면서 아직 감염경로를 모르는 조사중인 사례도 계속 늘고 있다. 직전 주엔 27.7%(1354명)이었으나 최근 1주간은 31.9%(2358명)으로 늘었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도 전주 1.3명에서 1.9명으로 높아졌으며,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주에 이어 20대가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10만 명당 2.3명에서 3.6명으로 늘면서 전주 대비 54.9%나 증가했다.

10대에서도 전주 대비 61.5%(1.3명→2.1명)나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연령별 발생 현황. [출처=중앙방역대책본부]

집단발생 상황을 보면, 주점·노래방 등 다중이용시설, 학교‧학원 등 교육시설에서의 발생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형 백화점, 군 훈련소, 의료기관‧노인복지시설에서의 신규 감염이 발생했다.

신규 집단감염 23건을 보면, 주점·실내체육시설·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 9건, 직장 등 사업장 6건, 초등학교·학원·어린이집 등 교육시설 5건, 가족 및 지인 2건, 군 훈련소 1건이었다.

주요 전파요인은 대부분 밀폐‧밀집 환경에서의 불충분한 환기, 장시간 체류 등 이었다.

이에 정부는 관리자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환기 방법과 중요성에 대한 홍보와 안내를 지속하고, 현장점검 시 지도·안내도 계속 실시할 방침이다.

최근 수도권 환자 급증 상황으로 인해, 접촉자 조사 및 격리가 지연되어 접촉자로 관리되지 못하는 감염자로 인해 N차 전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의료기관 등 고위험시설에서의 신규 집단감염도 발생한 상황이라고 방대본은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 수도권 방역강화대책 지속 추진, ▲ 선별검사소 확대, ▲ 유흥시설·학원 선제검사, ▲ 접촉자 조사 강화, ▲ 의료대응 체계 점검강화, ▲ 요양병원·시설·의료기관 2차 접종, 신규종사자 접종 및 시설 내 방역관리 강화를 계속 추진해나갈 작정이다.

정부는 거리두기 체계 개편에 따라 비수도권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방학·휴가철 이동으로 인한 모임·여행 등이 증가함에 따라, 비수도권 지역 내 확산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정부는 광역시·관광지역을 중심으로 유흥시설·목욕장(사우나) 등 취약시설 종사자 선제검사 및 유증상자 검사, 사적 모임 제한을 강화하고, 종교시설 여름 수련회나 행사, 전국 단위 행사를 자제하도록 안내하기로 했다. 또 여름 휴가 대책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여름철을 맞아 에어컨 사용 증가, 자연환기 불충분 등 실내 환기 부족으로 인한 감염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학교·학원 등 강의실, 콜센터 등 회사 사무실, 음식점, 사업장 등에 전후면 창문 및 출입문 개방을 통해 맞통풍 자연환기를 시켜줄 것을 당부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NOL 인터파크투어, '제로베이스원 월드투어 패키지' 단독 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놀유니버스가 운영하는 NOL 인터파크투어가 차별화된 여행 및 엔터 전문성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여행 경험 확산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NOL 인터파크투어가 글로벌 그룹 제로베이스원(ZEROBASEONE)의 월드투어 ‘ZEROBASEONE WORLD TOUR [HERE&NOW]’를 맞아 공식 패키지 상품을 단독으로 선보인다.

2

"당근도 오네" CJ대한통운-당근마켓, 중고거래 배송 '협업'
[메가경제=정호 기자] CJ대한통운이 당근마켓과 손잡고 중고거래 이용자를 위한 배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로 ‘불황형 소비’가 늘어나고 한정판·명품·패션 등을 중심으로 중고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이와 함께 성장하는 물류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당근마켓이 17일 출시한 ‘바로구매 서비스’의 배송을 전담한다고 18일 밝혔다. 양사

3

이디야커피, 모바일 게임 '헬로 타운'과 협업...특별 메뉴 마련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모바일 게임 ‘헬로 타운’과 손잡고 배달앱 전용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헬로 타운’은 스프링컴즈가 개발한 경영형 퍼즐 게임으로, 유저가 주인공이 돼 마을을 꾸미고 상권을 키워가는 과정을 즐길 수 있다. 퍼즐에 가게 운영, 건물 업그레이드, 캐릭터 성장 요소를 더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으며, 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