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개정안 국회 통과, 1주택자 과세기준 9억→11억 완화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1-09-01 00:30:26
  • -
  • +
  • 인쇄
1주택자 추가 공제액 3억원→5억원으로 상향
기본 공제액 6억원에 5억원 더하면 11억원
시가 15.7억원 넘는 주택...종부세 대상 9.4만명 추산

1세대 1주택자의 종부세 추가 공제액을 3억원에서 5억원으로 상향하는 내용의 종부세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31일 본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종합부동산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법안은 주택분 종부세 과세표준 산정 시 1가구 1주택자의 추가 공제액을 현행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높여 1가구 1주택자의 세부담을 줄여주겠다는 내용이다.

기본 공제액 6억원에다 추가 공제액을 더하면 1가구 1주택자의 종부세 과세 기준선은 9억원(기본 6억원+추가 3억원)에서 11억원(기본 6억원+추가 5억원)으로 완화된다.
 

▲ 공시가 현실화율 70% 적용시 종부세법 개정안에 따른 종부세 부담 변화. [그래픽=연합뉴스]

공제액은 공시가를 기준으로 한다. 공시가격 현실화율(시세 반영률) 70%를 적용할 경우 공시가 11억원인 1가구 1주택자의 주택은 시가 15억 7100만원 선에 해당한다.

1가구 1주택자 중 시가 15억 7100만원보다 비싼 주택의 소유주는 종부세를 내야하지만 15억7100만원 이하 주택 소유주는 공제를 받아 종부세를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다만 다른 종부세 부과기준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6억원씩(합산 12억원) 공제받는 부부 공동명의의 종부세 혜택은 사실상 거의 사라지는 셈이 된다. 공동명의 주택의 경우 공시가 12억원에 공시가격 현실화율 70%를 적용하면 시가 17억1천만원 선이 되기 때문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공시가격 ‘상위 2%’ 주택에 종부세를 부과하도록 하는 정률 도입과, 구체적인 액수는 ‘억단위 반올림’으로 정하는 방안을 당론으로 추진했다. 그러자 국민의힘은 ‘사사오입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결국 여당의 정률 도입안은 상임위 논의 과정에서 폐기됐다. 그 대신 여야는 올해 기준으로 상위 2% 수준에 해당하는 11억원 정액으로 합의를 이뤘다.

여당과 정부는 그간 고령자 종부세 과세 유예방안도 검토했으나 이번 종부세 개정안에 해당 내용이 빠지면서 연내 제도 도입은 어려워졌다.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음에 따라, 정부는 올해 종부세 대상자 안내 등 부과 절차에 둘어갈 예정이다. 9월 16일부터 말일까지 납세자 합산배제 신고와 공동명의 과세방식 선택 등을 받고, 오는 11월 말 고지 후 12월 1∼15일 신고와 납부를 받을 예정이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2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3

서울 아파트, 30대 '패닉바잉' 확산…대출 규제 속 무주택층 매수세 급증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30대의 매수 비중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10·15 대책 발표 이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나 무주택자를 중심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매수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