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이후 돌발적 망상·성격 변화… 치매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6 08:41:19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중년 이후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망상이나 성격 변화가 조현병 등 정신병적 증상으로 오인되는 사례가 적지 않지만, 실제로는 치매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신경퇴행성 변화일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인클리닉 전홍준 교수는 “근거 없는 의심, 급격한 성격 변화, 저장강박이 눈에 띄게 나타날 경우 정신병적 장애로 단정하기보다 치매 초기 변화를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인클리닉 전홍준 교수

치매는 일반적으로 기억력 저하가 첫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환자 상당수는 기억력 문제 이전에 행동·심리증상(BPSD)이 먼저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전 교수는 ‘도둑이 물건을 훔쳐갔다’는 식의 망상, 예민함·공격성 증가, 불필요한 물건을 반복적으로 쌓아두는 저장행동, 우울·불안·무기력 등 감정 변화가 대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증상은 조현병 등 도파민계 이상으로 설명되는 정신병적 장애와 외형상 유사하지만, 발병 양상과 진행 경과가 다르다. 전홍준 교수는 “영상검사나 신경인지검사를 시행하면 초기 치매 변화가 확인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PET-CT, 뇌영상, 혈액 기반 바이오마커 등 진단기술 발전으로 조기 진단 정확도도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치매를 정신병으로 오인한 채 항정신병약 위주의 치료가 장기간 이어지는 경우 증상 악화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치매로 인한 신경퇴행성 변화가 원인일 때 항정신병약 중심 치료를 지속하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에는 새로운 기전의 항체치료제가 도입되며 조기 발견의 임상적 중요성도 확대되고 있다. 전 교수는 “항체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해 질병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초기 진단의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년 이후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는 단순 스트레스나 정신병으로만 판단할 것이 아니라 치매 초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기에 평가받아야 한다”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증상 악화를 늦추고 환자·가족의 삶의 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디지털대,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 온라인 특강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사이버대학 서울디지털대학교는 사회복지학과가 '2026년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대비를 위한 온라인 특강’을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권미영 교수의 강의로 총 2부로 진행되며, 학과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수강이 가능하다.특강은 1부에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시험 정보와 응

2

원광디지털대 대학원, 16개 과목 대면 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원광디지털대학교 대학원은 지난 22일 서울캠퍼스에서 자연건강 분야의 역량 강화를 위해 오프라인 수업을 실시했다고 26일 전했다. 이번 수업은 대면 실습과 세미나 중심의 교육을 통해 대학원생들의 실무·연구 역량 강화를 목표로 구성됐다.이날 수업에서는 응용근육생리학특론 약선과 식이요법세미나 아로마테라피특론 식치문헌연구 아유르베다특론 체

3

‘운동+줄기세포’ 병행치료, 근감소증 동물실험서 탁월한 효과 확인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연구진이 운동과 줄기세포 치료를 병행할 경우, 근감소증 개선에 단독 치료 대비 압도적인 효과를 나타낸 동물실험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급증하고 있는 근감소증 치료 전략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연구팀은 노화 쥐를 이용해 근감소증 모델을 구축하고, 운동 단독치료군 줄기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