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진에어 목표주가 줄하향…"운임 하락·경쟁 심화에 실적 경고등"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14:56:52
  • -
  • +
  • 인쇄
한화·신한 나란히 1만2000원→8500원…"단기 부진 불가피"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진에어가 국제선 운임 하락과 경쟁 심화에 직면하면서 증권가가 잇따라 목표주가를 8500원으로 낮췄다. 단기 실적 부진은 피하기 어렵지만, 향후 LCC 통합 과정에서 재평가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한화투자증권은 기존 1만2000원에서 8500원으로 목표주가를 대폭 낮추며 “아시아 지역 FSC(대형항공사)·LCC 공급 증가세가 진에어 영업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진에어 B787-800 항공기 [사진=진에어]

 

박수영 연구원은 “공급 경쟁에 따른 운임 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상각비와 조업비 등 비용 증가가 겹치며 단기 실적 부진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올해 연간 영업적자는 10억원으로, 지난해 영업이익 1630억원에서 적자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시장 구조조정 효과 확인 시점이 다소 지연되는 가운데 FSC 통합 이후 비로소 LCC 통합에 대한 가시성이 올라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올해 연간 영업적자는 10억원으로 지난해(영업이익 1630억원) 대비 적자 전환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다만 '내년 하반기 이후 LCC 통합의 가시성이 드러나면 역사적 최하단에 위치한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도 및 LCC 시장 지배력이 부각될 것"이라면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신한투자증권 역시 기존 1만2000원이었던 목표주가를 8500원으로 하향 조정하며 “3분기 국제선 운임 하락과 일본 노선 수요 위축 등이 매출 감소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3분기 매출은 3043억원(전년 대비 16.5% 감소), 영업손실은 225억원을 기록했다. 

 

최민기 연구원은 “아웃바운드 여객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국내 LCC와 외항사 공급 확대가 겹치며 중단거리 운임 하락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대한항공을 제외한 대부분 항공사가 영업적자를 피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환율 급등세가 진정돼야 비용 안정화와 투자심리 개선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탄탄한 재무구조와 내후년 출범 예정인 통합 LCC(에어부산·에어서울 통합)의 성장 모멘텀이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두 증권사는 단기적 수익성 압박에도 불구하고 향후 LCC 통합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진에어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광고PR실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개최
[메가경제=이준 기자] 한국광고PR실학회는 오는 28일 서울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2025년 한국광고PR실학회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K-컬쳐와 AI 광고PR의 혁신: 신뢰를 넘어선 미래’라는 대주제로 진행된다. 현재 K-컬쳐가 전 세계 문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인공지능(AI) 기술은 광고 및 홍보 전 분야에

2

홈플러스 인수 적정 주체, 국민 38.8%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 꼽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24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홈플러스를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보팀장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최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의 매각과 관련해 국민 여론을 조사했다.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시

3

에이티바이오제약, 통합 제조 플랫폼 통해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 본격 가동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 (주)에이티바이오제약이 예비 창업자를 위한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령과 성별 제한 없이 화장품 브랜드를 시작하려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최소 MOQ 1,000개부터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 초기 자본 부담을 크게 낮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